학술논문
광주민주화운동 피해자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이용수 22
- 영문명
-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Victims of Gwangju Democratic Uprising: In Seoul/Gyeonggi and Cheon-nam Regions
- 발행기관
- 대한사회정신의학회
- 저자명
- 신혜랑 김학렬 박상학 이문인 이진 정성윤 오현정 김상훈
- 간행물 정보
- 『사회정신의학』제16권 제2호, 57~6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1.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 적 :
본 연구는 5.18 민주화 운동의 현장이었던 광주지역이 아닌 전남지역과 서울/경기지역의 5.18 피해자까지 연구대상을 확대하여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유병률과 생활 스트레스와 일반 건강 등을 조사하여 5.18 피해자들과 유가족들에 대한 치료적 대안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방 법 :
5.18 피해자 113명을 대상으로 하여 교육을 받은 연구원의 직접 방문 및 대상자와의 면접을 통한 설문지 작성(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척도-인터뷰 버전, 생활 스트레스 설문지, 일반 정신건강 척도)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 과 :
전체 조사 대상자 113명 가운데 29명(25.7%)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되었고, 엄격한 기준에서 평가하더라도 19명(16.8%) 가 진단될 수 있다. 그러나 소척도에 따르면 41명(36.3%)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해당되었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가진 피해 자들은 장애가 없는 피해자에 비해 더 심각한 정도의 우울, 불안, 수면장애, 분노, 사회적 위축, 생활 스트레스를 보고하였다.
결 론 :
조사 대상자의 약 1/4에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보였고, 이들은 우울, 불안, 사회적 위축, 생활 스트레스 등의 복합적인 문제를 겪고 있었다. 앞으로 보상 문제뿐만 아니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진단받고 치료받을 수 있는 환경의 제공과 시설의 보충이 광주 이외의 지역에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develop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their life stresses and related general health in victims of Gwangju Democratic Uprising (5 · 18).
Methods :
Subjects were 113 5 · 18 victim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rained examiners' interview and survey with PSS-I, life stress questionnaire and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Results :
Results showed that 29 victims (25.7%) met the criteria of PTSD and 19 victims (16.8%) met the rigid criteria of PTSD. But, according to the subscales, 41 victims (36.3%) were diagnosed as PTSD. Victims with PTSD had more serious depression, anxiety, sleep disturbance, anger, social withdrawal and life stresses.
Conclusion :
About one fourth of them were diagnosed as PTSD. Their PTSD symptoms were complicated by the mixtures depression, anxiety and social withdrawal. They still suffer from life stresses.
목차
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산거주 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의 정신건강
- 광주민주화운동 피해자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 일 도시 지역 영구임대주택 거주자의 알코올 문제 및 일반인구 집단과의 비교
- 마음챙김 명상과 자비명상을 결합한 프로그램이 입원한 조현병 환자들의 정서 상태에 미치는 영향 : 예비 연구
- 정신보건시설 운영자의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 및인권 감수성 평가
- 정신병으로 입원한 환자에서 외래 순응도와 관련 있는 임상적 요인에 대한 후향적 조사
-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의존의 심각도와 애착유형 및감정표현불능증과의 관련성
- 보상만족도가 수해 후 정신병리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 (WHOQOL-BREF)의 개발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eaning in Life Scale for Cancer Patients
- Diminished Compensatory Energy Production Following Hypoxic Stress in the Prefrontal and Anterior Cingulate Cortex Among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 Prenatal Mental Health and Its Stress-Process Mechanisms During a Pandemic Lockdown: A Moderated Parallel Mediation Model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