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신재활을 위한 한국판 능력 강화 척도의 개발

이용수 17

영문명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Empowerment Scale for Psychiatric Rehabilitation
발행기관
대한사회정신의학회
저자명
최선 황태연 이우경
간행물 정보
『사회정신의학』제10권 제1호, 38~47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5.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 적: 만성 정신질환자들은 지속적인 정신재활치료를 받고 있지만, 실제로는 정신질환자라는 낙인으로 인해 현실 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들이 사회적·내재적인 낙인을 극복할 수 있는 잠재적인 힘이나 의지를 평가할 수 있는 능력 강화 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방 법: 경기도 Y시와 S시에서 정신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입원환자와 외래 환자 1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그 중 분석에는 118명만이 포함되었다. 기존 연구 문헌을 참고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였으며, 문항-총점 간 상관 및 문항 변별도를 확인하여 최종 25개의 문항을 선별하였다. 25개의 문항에 대한 구성 타당도, 내적 합치도, 변별 타당도 및 수렴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 분석과 요인 분석, 변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 과: 한국판 능력 강화 척도는 자기 능력 강화(self-empowerment)와 사회적 능력 강화(social-empowerment)라는 두 개의 독립된 하위 척도로 구성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신뢰도는 전체 척도에 대해 .83이었으며, 하위 척도는 각각 .80으로 모두 높은 수준이었다. 그 외에 삶의 질 및 일상 생활 기능의 측정치와는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내재화된 낙인 척도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입원 환자 집단과 외래 환자 집단의 능력 강화 점수 차이가 유의미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만성 정신질환자들의 낙인을 극복하고 재활하려는 의지를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측정하고자 개발한 능력 강화 척도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능력 강화 척도는 자기 능력 강화와 사회적 능력 강화라는 하위 척도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하위 차원들은 능력 강화에 대한 기존 연구자들의 구성 개념과 일치한다. 본 척도는 향후 정신재활서비스를 제공받는 환자들의 객관적 평가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A Number of people with chronic mental illness have long-lasting psychiatric rehabilitation, but in reality they get to struggle with stereotype and stigma of mental ill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easure of empowerment that is opposed of self-stigma an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mpowerment Scale. Methods:The subjects were total 118 inpatients and outpatients under psychiatic rehabilitation services in Yong-in City and Seongnam City in Kyonggi Province. Analyzing item-pool including specific empowerment concepts, the Empowerment scale have consisted of 25 items with subscale of self-empowerment and social(community) empowerment. To establish the scale’s relaiblity and validity, factor analysis, internal consistancy, and correlation were conducted. Results:Reliabilities of individual items, scales, and inventory total are in the good to excellect range.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ecients(Cronbach alpha) of each subsacle was approximately .80. Empowerment scores was related to QOL(quality of life), self-esteem and BASIS-32(Behavior and Symptom Identification Scale-32) positively. But Empowerment was inversly related to ISMI(internalized self-stigma of mental illness). Conclusion:Overall, the findings support the utility of the Korean Empowerment Scale. The findings set a framework for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imprecise and overused concept of empowerment. The scale demonstrated adequate internal consistancy and some evidence for validity. Further testing must be done to establish whether it has disciminant validity and is sensitive to change.

목차

서 론
연구방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선,황태연,이우경. (2005).정신재활을 위한 한국판 능력 강화 척도의 개발. 사회정신의학, 10 (1), 38-47

MLA

최선,황태연,이우경. "정신재활을 위한 한국판 능력 강화 척도의 개발." 사회정신의학, 10.1(2005): 38-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