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반도와 중국 동북지방의 골촉 연구

이용수 51

영문명
A Study of the Bone Arrowheads from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China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이혜령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55집, 4~35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반도와 중국 동북지방의 선사시대와 초기 역사시대 유적에서 출토된 골촉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제까지 단순하게 철촉의 대체품으로 여겨졌던 골촉의 기능을 재검토하고 골촉의 사용 배경과 성행 이유, 소멸의 배경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한반도의 골촉과 중국 동북지방의 골촉을 비교하여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한반도와 중국 동북지방에서 출토된 골촉의 형태적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명목적 속성과 계측적 속성을 분석하였다. 한반도의 골촉은 경부의 유무와 단의 유무에 따라 형태가 분류된다. 다음으로 촉신 단면 형태와 제작 소재의 연관성을 검토하고 촉신 단면이 시간성을 반영하는지 살펴보았다. 촉신 너비는 대다수가 1.1cm 이하로 계측되었으며 동시기에 사용된 석촉, 철촉보다 너비가 좁다. 이러한 형태 차이는 기능적 차이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 동북지방의 골촉은 경부의 유무와 경부 말단 형태를 기준으로 형태를 분류하였다. 가장 많이 확인되는 편평경골촉은 대나무 살대를 사용하기 어려운 중국 동북지방의 환경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촉신 너비는 한반도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1.1cm 이하로 계측되며 석촉, 철촉보다 너비가 좁은 특징을 보이고 있다. 골촉은 너비가 넓은 석촉이나 철촉에 비해 사냥감의 폐부를 노려 치명타를 가하는 용도에 적합하다. 시간이 지날수록 단면삼각형골촉의 비중이 늘어나며 골촉의 총 길이가 길어지는 양상이 나타난다. 이는 관통력 증가를 위한 의도가 담겨있다고 보인다. 석촉 이후 골촉사용의 성행은 금속제 공구의 보급과 연관성이 있다. 골촉은 금속제 살촉의 대체재로서 등장한 것이 아니라 이전에 사용되었던 석촉보다효율성이 높기 때문에 주요 살촉의 위치를 차지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한반도와 중국 동북지방의 골촉을 비교하여 환경적요인이 골촉의 형태에 차이를 가져다주었고 문화적 요인은 골촉의성행 시기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present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bone arrowheads discovered in prehistoric and early historic sites in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China. It tries to reanalyze the function of arrowheads that had been thought to be simple replacement of iron arrowheads and to find out the background of their use, the reason for its popularity, and the background of the extinction of bone arrowheads. This paper also compares bone arrowheads of Korean peninsula with those of Northeast China and discusses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irst of all, their nominal and numeric attributes are analyzed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formal characteristics of bone arrowheads from Korea and Northeast China. Bone arrowheads of Korea can be divid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ang and can be divided into steptanged/non-step-tanged subtypes. 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oss section of the bone arrowheads and the raw material was reviewed, and whether the cross section of the bone arrowheads reflects temporality was discussed. The width of most of the bone arrowheads discovered in Korea is below 1.1cm and is narrower than their contemporary stone and iron arrowheads. This difference may be related to their function. Bone arrowheads of Northeast China can be divided by the presence/absence of the tang and can be divided by the shape of their tips. The flat-tip-tanged arrowheads are most numerous subtype and may be related to the local environment of Northeast China where bamboo shaft was difficult to acquire. The width of most of the bone arrowhead discovered in Northeast China is below 1.1cm as in Korea and is narrower than their contemporary stone and iron arrowheads. Compared to the wide stone and iron arrowheads, the bone arrowheads is suitable for strike vital parts of the game such as heart or lung. The number of arrowheads with triangular cross section increased over time and the total length of bone arrowheads increases over time. This seems to contain an intention to increase penetrative power. The prevalence of the use of bone arrowheads after stone arrowheads is related to the spread of metal tools. It is concluded that bone arrowheads were not replacement of metal ones but improvement over earlier stone arrowheads as major types of arrowheads due to their better efficiency. Finally, by comparing the bone arrowheads of Korea and Northeast China, it is also suggested that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d mostly on the shape of bone arrowheads and cultural factors rather influenced on their prevalent time.

목차

Ⅰ. 서론
Ⅱ. 골촉의 형태적 특징
Ⅲ. 골촉의 시간적 전개 양상
Ⅳ. 골촉의 기능과 사용 배경에 관한 논의
Ⅴ. 한반도와 중국 동북지방 골촉의 비교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혜령. (2023).한반도와 중국 동북지방의 골촉 연구. 호서고고학, (), 4-35

MLA

이혜령. "한반도와 중국 동북지방의 골촉 연구." 호서고고학, (2023): 4-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