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超)불확실성 시대의 대학 진로교육 교과목 개발 및 효과
이용수 124
- 영문명
- Development and Effects of University Career Education Subject in the Age of Hyper-Uncertainty
- 발행기관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저자명
- 김수란
- 간행물 정보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7권 제3호, 65~7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재처럼 불확실성이 만연한 시대에 보다 적응적인 진로교육 교과목을 개발하여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우선, 문헌조사 및 요구조사, 전문가 자문을 통해 '자기이해, 직업세계 이해, 진로계획, 진로준비'의 공통적인 주제 외에 대안적 진로 이론(진로 구성주의, 계획된 우연 이론, 진로 카오스 이론)과 긍정심리 요소(성장 마인드셋, 그릿, 회복탄력성)를 고려하여 교과목을 개발하여 A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서 진로교육 교과목(교양선택)을 한 학기 동안 수강한 40명의 학생들을 실험집단으로, 이 기간 동안 진로와 관련된 교과목을 수강하지 않은 41명의 학생들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통해 집단 간 효과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진로교육 교과목은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처럼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진로 및 취업을준비하는 대학생들에게 자신감과 적응성을 높일 수 있는 진로교육 정책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ore adaptive career education subject in an era of uncertainty as it is now and to verify the effect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as selected from 4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university in A city and participated in the class for one semester by developing subjects in consideration of alternative career theory(career construction, planned happenstance, career theory of chaos) and psychological factors (growth mindset, grit, resilience) in addition to the common theme of self-understanding, understanding of the job world, career planing, and career preparation through prior research, needs for university students, and opinion of experts. 41 students who did not take the class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in effect between the groups was analyzed through ANCOVA.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areer education subject developed in this stud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useful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career education plan that can increase the confidence and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career and employment in a situation where uncertainty is hig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직무체험과정이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키워드 분석을 통한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전, 후의 소비자, 음식점 점주의 배달앱에 대한 인식변화 연구
- 초(超)불확실성 시대의 대학 진로교육 교과목 개발 및 효과
- 디지털 플랫폼 기업의 기술 역량 다각화에 관한 연구
- 직장인의 개인성향, 성취욕구 및 창업준비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원의존이론 관점에서 본 성균관대 캠퍼스타운사업 초기 창업자의 경험과 자원 전략
- 디자인씽킹·린 스타트업 프로세스를 활용한 대학 창업동아리 지원이 창업 사업화에 미치는 사례 연구
- ESG 인식에 대한 세대별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영업관리자의 리더십 스타일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Living a calling and work-related burnout: The moderating role of growth mindset
- 대학생 학업지속의향의 예측변인으로 대학이미지, 대학만족, 전공만족과의 구조적 관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