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 한국어 교육계의 어기설(語基說)과 朴勝彬(1931)의 용언 활용론에 대한 소고

이용수 150

영문명
A Study on the Eogiseol in the Japanese Korean Language Education Society and Park Seung-bin(1931), the Theory of Conjugation of Korean Verbs and Adjectives
발행기관
형태론
저자명
김주상
간행물 정보
『형태론』25권 1호, 33~5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어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5.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현재 일본의 한국어 교육계에 사용되고 있는 어기설(語基說)과 박승빈(1931)의 용언 활용론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어기설이 어떤 이론인지를 규명하고 어기설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어기설서 말하는 어기(語基)는 ‘먹’, ‘작’과 같은 기본형에 어기형성모음인 ‘-으-’나 ‘-아/어-’가 결합한 것인데, 후행하는 어미의 종류에 따라 선행하는 어기가 3가지로 결정되며, 어미가 고정되어 있는 것에 비해 어기가 어미에 따라 변화한다는 것이다. 이는 용언의 활용에서 어간은 변하지 않지만 어미가 변한다고 하는 일반적인 활용론과는 정반대의 시각을 보여준다. 어기설의 형성과정은 대체로 ‘마에마 교사쿠(前間恭作) -> 고노 로쿠로(河野六郞) -> 간노 히로오미(菅野裕臣) -> 하마노우에 미유키(浜之上幸)’의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중세한국어의 연구에서 얻어진 성과를 현대한국어에도 준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어기설과 박승빈(1931)의 유사점은 어기설의 제2어기 활용 ‘먹으’+‘니’와 박승빈(1931)의 원단(原段) 원음(原音) 활용 ‘머그’+‘니’, 어기설의 제3어기 활용 ‘먹어’+‘서’와 박승빈(1931)의 변동단(變動段) 활용 ‘머거’+‘서’가 음성 실현의 측면에서 유사하기 때문에 여러 논의에서 이를 다루어 왔으나, 조금 더 깊이 살펴보면, ‘먹으’와 ‘머그’처럼 표기 방식이 다르고, 기본형 설정도 ‘먹’과 ‘머그’로 다르며, 어간의 영역도 어기설은 ‘먹으’까지인데 비해 박승빈(1931)은 ‘머’까지이므로 다르다. 또한, 어기설의 지지자들은 일본의 한국어 교육계에서 어기설을 사용하는 이점으로 어미의 종류에 따라 어기의 형식을 외운다는 점에서 학습자에게 많은 고민을 주지 않으며, 신속하고 정확하게 활용형을 도출할 수 있다는 점을 주장하고 있으나, ‘-으-’나 ‘-아/어-’가 어간에 속하는 것을 전제로 한 활용론은, 어간은 변하지 않고 어미가 변한다는 한국어 용언 활용의 본질에서 멀어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론의 정합성에 대한 더 깊은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ompared the Park Seung-bin(1931) and the Eogiseol, which are currentl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ociety in Japan. For this purpose, we first investigated what is the Eogiseol and examined the formation process of it. In Eogiseol, Eogi is a combination of basic forms such as ‘먹’, ‘작’ and ‘-으-’ or ‘-아/어-’ which are thematic vowel, And three Eogie types are depending on the types of endings, and Eogies change their forms but endings are fixed. This shows the opposite perspective from the general conjugation theory that the stem does not change, but the ending changes. The formation process of Eogiseol generally shows the flow of ‘前間恭作→河野六郞→菅野裕臣→浜之上幸’, and it can be seen tha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of medieval Korean are applied to modern Korean.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Eogiseol and Park Seung-bin(1931) are discussed in terms of similarities of phonetic realization of ‘먹으’+‘니’ of the Second-Eogi-type and ‘머그’+‘니’ of Park Seung-bin(1931), ‘먹어’+‘서’ of the Third-Eogi-type and ‘머거’+‘서’ of Park Seung-bin(1931), but if we look a little deeper, we can know that the way of spelling is different like ‘먹’ and ‘머그’, the basic type setting is different as ‘먹’ and ‘머그’, and the area of the stem is also different because it is up to ‘먹’ while ‘머’ is different. In addition, supporters of Eogisol argue advantages of the use of Eogisol in the Japanese Korean language education society in that Eogisol does not give learners much concern and can derive the conjugation type quickly and accurately in that it memorizes the form of Eogi according to the type of endings, but the theory of conjugation based on the premise that ‘-으-’ and ‘-아/어-’ belong to the stem can lead to a shift away from the essence of the conjugation of Korean verbs and adjectives that the stem does not change and the ending changes, so deeper consideration of the consistency of the theory is needed.

목차

1. 서론
2. 어기설의 정체와 형성 과정
3. 박승빈(1931)과 어기설의 용언 활용론 비교
4. 일본의 한국어 교육에서 어기설의 이점과 문제점
5. 결론
참고논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상. (2023).일본 한국어 교육계의 어기설(語基說)과 朴勝彬(1931)의 용언 활용론에 대한 소고. 형태론, 25 (1), 33-56

MLA

김주상. "일본 한국어 교육계의 어기설(語基說)과 朴勝彬(1931)의 용언 활용론에 대한 소고." 형태론, 25.1(2023): 33-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