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타인의 선거범죄에 의한 당선무효제도에 관한 헌법적 검토

이용수 57

영문명
Constitutional review of invalidation of election due to election crimes by others
발행기관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저자명
김현귀
간행물 정보
『세계헌법연구』第29卷 第1號, 133~16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선거범죄에 대한 재판은 선거의 공정성을 훼손하는 범죄행위의 처벌하는 기능을 한다. 간접적으로는 선거범죄로 어지러워진 선거의 공정성을 복원한다. 그러나 선거쟁송을 통해 선거의 결과가 교정되는 경우보다 선거범죄에 대한 처벌로 선거의 결과가 바뀌는 경우가 훨씬 많다. 특히 본인의 선거범죄도 아니고 타인의 선거범죄에 대한 징역형 또는 벌금 300만 원 이상의 선고만으로 일률적으로 당선을 무효로 만드는 제도는 헌법적으로 문제가 많다. 타인의 선거범죄에 의한 당선무효제도는 책임주의 또는 자기책임의 원칙을 위반할 뿐 아니라 적법절차원칙을 위반하여 후보자의 공무담임권을 침해한다. 무엇보다 법관에게 타인의 선거범죄에 대한 양형에 있어서 당선된 후보자의 당선무효에 관한 정책적인 판단을 동시에 고려하도록 부담을 줄 수 있어서 사법 고유의 기능을 훼손한다. 비교법적으로 보면, 영국과 일본도 타인의 선거범죄로 인한 당선무효를 인정하고 있지만 선거범죄로 인하여 당선무효를 할 것인지를 선거범죄에 관한 형사재판과 별도의 선거법원 및 선거소송을 담당하는 재판소의 재판을 통해 결정한다. 이들 입법례는 공직선거법 제263조 및 제265조의 당선무효제도가 적법절차원칙을 위반하고 후보자의 공무담임권을 침해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다. 타인의 선거범죄에 의한 당선무효 제도의 위헌성을 극복하고 헌법상 적법절차원칙과 책임주의 또는 자기책임원칙 등에 부합하는 제도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당선무효 여부에 대한 별도의 절차를 보장하는 방안을 생각해 봐야 한다. 그래서 타인의 선거범죄에 대한 형사재판과 별도로 당선무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재판절차를 구성하는 방향으로 입법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Trials for election crimes function to punish criminal acts that infringe on the freedom of elections and undermine the fairness of elections. Indirectly, it restores the fairness of elections disturbed by election crimes. However, there are far more cases in which the result of an election is changed by punishment for election crimes than in cases where the result of an election is corrected through an election lawsuit.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constitutional problems with a system that uniformly invalidates elections only by sentences of imprisonment or fines of 3 million won or more for other people's election crimes, not their own. The invalidation of the election due to election crimes by others violates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responsibility or self-responsibility, as well as due process of law, thereby violating the candidate's right to hold public office. Above all, it can impose a burden on judges to simultaneously consider the policy judgment on the invalidation of the elected candidate in sentencing for other people's election crimes, thereby damaging the unique function of the judiciary. Comparatively, the UK and Japan also recognize the invalidity of elections due to election crimes by others. However, apart from the criminal trial for election crimes, whether to invalidate the election due to election crimes is decided through the judgment of the election court or the court in charge of election litigation. These comparative legislative examples can support the argument that the election invalidation system under Articles 263 and 265 of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violates the due process of law and violates the candidate's right to hold public office. In order to overcome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invalidation of elections due to election crimes by others,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guaranteeing a separate procedure for invalidation of elections. Therefore, legislative improvement should be made in the direction of organizing a due process that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an election is invalid, separate from criminal trials for other people's election crimes.

목차

Ⅰ. 서론
Ⅱ. 공직선거법상 당선무효제도의 의의와 문제점
Ⅲ. 선거사무장 등의 선거범죄에 의한 당선무효제도의 문제점
Ⅳ. 타인의 선거범죄에 의한 당선무효제도의 비교법적 검토와 개선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귀. (2023).타인의 선거범죄에 의한 당선무효제도에 관한 헌법적 검토. 세계헌법연구, 29 (1), 133-163

MLA

김현귀. "타인의 선거범죄에 의한 당선무효제도에 관한 헌법적 검토." 세계헌법연구, 29.1(2023): 133-1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