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고대사 연구에서 동아시아론과 동부유라시아

이용수 167

영문명
Theory of East Asia and Eastern Eurasia in Korean Ancient History Studies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저자명
小宮秀陵
간행물 정보
『중앙사론』제58집, 123~15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냉전체제 아래에서 동아·아세아로 한국을 아세아 속에 자리매김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조공이라는틀에서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세계가 그려졌다. 한국의 연구자들은 중국 중심성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비판적인 문제의식을 가지고 조공·책봉과 같은 새로운 개념을 창출하였다. 냉전의 붕괴가 새로운 역사세계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켜 해양사나 해역사, 그리고 동아시아사의 검토가 이루어졌다. 동부유라시아와 같은 광역세계론은 ‘한국’의 다양성, 다층성과 궤를 같이 하면서 전개할 것이다. 그때 한국의 내러티브(narrative)와 같은 국민국가를 통해 만들어진 광역세계의 담론은 염두에 두어야 할 문제가 된다. 따라서 시공간적으로 다층적인 내러티브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Under the Cold War system, studies were conducted that positioned Korea in Asia, and the United States constructed an ancient East Asian world centered on China in the framework of tributary relations(조공). Korean researchers created new concepts such as tribute-investiture relations(조공·책봉) with a critical mindset to solve the problem of China-centrism. The collapse of the Cold War generated interest in new historical worlds, leading to a review of marine history, maritime history, and East Asian history. The pluralism and multilayeredness of “Korea” will be discussed, along with broader regional theories such as East Eurasia(동부유라시아). At that time, the discourse of the region created through the nation-state, such as the Korean narrative, becomes an issue to be kept in mind. Therefore, an analysis of multilayered narratives in space and time is necessary.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동아·아세아의 등장과 한국
Ⅲ. ‘조공·책봉’과 동아시아
Ⅳ. 맺음말을 대신하여 - 동부유라시아를 바라보는 한국적인 시각과 전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小宮秀陵. (2023).한국고대사 연구에서 동아시아론과 동부유라시아. 중앙사론, (), 123-153

MLA

小宮秀陵. "한국고대사 연구에서 동아시아론과 동부유라시아." 중앙사론, (2023): 123-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