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베르톨트 브레흐트의 교육극. 음악의 사회적 기능에 관한 이론과 실제
이용수 14
- 영문명
- Das Lehrstueck Bertolt Brechts. Die Theorie und Praxis von der gesellschaftlichen Funktion der Musik
- 발행기관
- 한국서양음악학회
- 저자명
- 김택완
- 간행물 정보
- 『서양음악학』제7권, 79~121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5.30
7,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목차
1. 교육극의 음악사적 탄생 배경
2. 브레히트의 교육극 이론
4. 〈동의하는 사람〉(1930)
5. 〈조처〉(1930)
6. 맺는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의 정당화 담론과 아도르노의 음악사회학
- 베르톨트 브레흐트의 교육극. 음악의 사회적 기능에 관한 이론과 실제
- 아도르노, 아이슬러 그리고 "영화를 위한 작곡"
- 부조니의 푸가
- 음악 "작품" 개념의 발생 과정
- 훼라리, 사크라티, 카발리
- 네오리이만 변형이론의 역사적 배경 및 기본개념
- 연장된 종지 안에 내재되어 있는 선율의 이중적 기능
- 카시오도루스(Cassiodorus)의 음체계
- 바그너의 음악극에서 나타나는 음악적 산문과 화성적 힘
- 음악에서의 크로스오버 현상과 실체
- 한국서양음악학회 2003년 정기학술대회
- “현 시대의 옛 음악, 20ㆍ21세기에서의 진정한 부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한국 음악소양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 타당도 연구
- 지역형 초등국악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경험 탐색 - 초점집단면담(FGI)을 중심으로 -
- 포스트 휴먼 시대, 실천적 미적 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가치 탐색 - 자기 이해와 타자 이해에의 조망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