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기 불교의 태교 사상

이용수 49

영문명
Early Buddhist Theory of Prenatal Education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김한상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第65輯, 251~28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초기불교적 관점에서 한국의 전통태교를 탐구하고 초기불교의 태교 이론을 정립하려는 시도이다. 업과 재생의 배후에 가로놓여 있는 기본 법칙인 작용·반작용의 법칙과 유사성의 법칙은 모두 한 개체가 전생의 업(業, karma)에 따라서 내생에 그에 걸맞은 가문, 부모, 성장 환경으로 태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암시한다. 그러므로 태교는 아이가 태어나기 이전인 가임기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또한 새로 수태된 태아가 단지 무로부터 처음으로 발달한 잠재적 인격체가 아니라 최근 죽은 개인의 완전한 업의 인코딩을 지닌 연속적인 실체라는 점은 태아가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점을 말해준다. 그래서 초기불교는 출산의 네 단계에서 부모와 아이 간의 상호교감과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부모는 공덕(puñña)을 짓고 계를 지키고 마음챙김(sati)으로 마음을 청정히 하고, 삼보에 귀의하는 행위를 통해서 유사한 업의 성향을 지닌 존재의 잉태를 준비할 뿐만 아니라 모태에 있거나 태어난 유아에게도 정신적, 신체적으로 적극적 영향을 미친다. 보살의 사례에서 보듯이 유아도 독립적 인격체로서 부모에게 적극적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초기불교적 관점에서 태교는 임신기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붓다가 출산을 가임기, 임신기, 출산기, 양육기의 네 단계로 구분하였듯이, 그리고 아나타삔디까(Anāthapiṇḍika)의 태교에 대한 언급에서 드러나듯이, 태교는 비단 임신 전후 뿐만 아니라 출생 이후에도 계속되어야 하는 전인교육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prenatal education known as ‘Taegyo (胎敎)’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arly Buddhism and to establish Early Buddhist theory of parental education. The laws of action and reaction and the law of attraction, common cores underlying Karma and rebirth suggest that an individual is likely to be born into a family, parents, and growth environment appropriate for his or her own karma in his or her previous lives. Thus prenatal education should be started the fertile periodEarly Buddhism regards the new conceptus as not just a potential person evolving for the first time from nothing, but as a continuous entity bearing the completed karmic encoding of a recently deceased individual. This suggests that fetus should be respected as an independent individual. For this reason, Early Buddhism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utual relationship and reciprocal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infants through the four stages of child-bearing. Parents should prepare a conception for a being who has karmic tendencies which cause it to be born as their child. They influence unborn and new-born babies mentally and physically, by performing merits (puñña), keeping the precepts, purifying the mind with mindfulness (sati), and going for three-fold refuge (ti-sarana). As can be seen in the case of the Bodhisattva, infants also actively influence their parents as independent individuals. From an early Buddhist point of view, prenatal education is not confined to the during the period of pregnancy. As the Buddha divided the stages of childbearing into four: the fertile period, pregnancy, birth, and nursing, and as can be seen in Anāthapiṇḍika’s remarks on prenatal education, prenatal education is a holisitc education that must not only conducted before and after a moment of pregnancy, but also be continued even after birth.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업과 재생으로 살펴본 부모와 태아 관계
Ⅲ. 초기 불교의 발생학
Ⅳ. 산전과 산후의 태교
Ⅴ.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한상. (2023).초기 불교의 태교 사상. 보조사상, (), 251-280

MLA

김한상. "초기 불교의 태교 사상." 보조사상, (2023): 251-2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