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洪城 龍鳳山 磨崖佛의 特徵과 造成 背景 再檢討

이용수 39

영문명
Re-examination of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of Rock-carved Buddhas in Yongbongsan Mt., Hongseong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진정환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第65輯, 103~13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홍성 용봉산에 있는 용봉리 마애불과 신경리 마애불의 조성 시기와 그 배경을 재검토한 논문이다. 삼국시대 내포지역에는 백제의 사찰과 마애불 등이 조성되었으나, 아직 홍성지역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 내포지역에서도 가장 중요하고 주목할만한 불교미술품이 홍성지역에 조성된다. 이 논문에서 龍鳳寺 貞元 15年(799년)銘 磨崖佛로 신라 중대에서 하대로 변모하는 과도기적 양상과 함께 발원자와 장인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8세기, 후삼국기, 10세기 등 조성 시기에 관한 다양한 견해가 제기되었던 新耕里 磨崖佛에 대한 조형적 특징을 바탕으로 조성 시기와 배경을 검토하였다. 용봉사 정원 15년명 마애불은 신라가 중대에서 하대로 넘어가는 전환기에 국가적 차원의 불교 확산의 근거로 인식되었으나, 실제로는 私的 불사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이유로 장인의 수급이 어려워 僧匠이 불상을 제작하면서 조형성이 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신경리 마애불은 고려전기 석불의 양식과 비교해볼 때, 11세기 2분기를 전후한 시기에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 시기는 거란의 침입 직후로 혼란기였는데, 홍주의 호장층이 흔들리는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홍주의 읍민이 거국적으로 참여하는 불사의 하나로 신경리 마애불을 조성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읍기가 아닌 용봉산 중턱에 신경리 마애불을 조성한 이유는 용봉산의 과도한 지세를 보완하기 위한 裨補寺塔說에 근거했기 때문일 것이다.

영문 초록

During the Baekje era, temples and Buddha statues were built in the Naepo area. However, in the Hongseong area, no Buddhist temples or Buddhist art works from the Sabi period in Baekje have been confirmed so far. After Silla unified the three countries, the most important and remarkable Buddhist art in the Naepo area has been created in the Hongseong area. These are the rock-carved Buddha (Chungcheongnam-do 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ch was inscribed in the 15th year (799 CE) of Zhenyuan (貞元, Jeongwon) in Yongbong-sa Temple and the Singyeong-ri rock-carved Buddha (a treasure of Korea) in the mountain behind Yongbong-sa Temple. This article considered the changes in the originators and craftsmen, as well as the transitional aspect of the transformation of statues from the middle period to the late period of Silla through the Yongbong-sa rock-carved Buddha.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background were considered based on the styling characteristics of the Singyeong-ri rock-carved Buddha, which raised various views on the construction period such as the 8th century, the Later Three Kingdoms, and the 10th century. The Yongbong-sa rock-carved Buddha inscribed in the 15th year of Jeongwon was recognized as the basis for the spread of Buddhism at the national level during the middle and late periods’ transitions of Silla, but it is actually identified as a Buddha statue that originated personally. For this reason, it was difficult to supply and demand of craftsmen, the monk craftsman made a Buddha statue, which led to poor formability. There have been the view on the Singyeong-ri rock-carved Buddha, such as in the late 9th century ∼ early 10th century, but it is highly possible that it was built around the second quarter of the 11th century, compared to the stone Buddha style of the early Goryeo period. This period was a period of confusion immediately after the invasion of Khitan (契丹), and it is believed that the villagers of Hongju built the Singyeong-ri rock-carved Buddha as part of the Buddhist service in which the villagers of Hongju (Hongseong) participated nationwide to deal with the public sentiment. In addition,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reaso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ingyeong-ri rock-carved Buddha on the hillside of Yongbongsan Mountain, not twon of Hongju (Hongseong), was based on the theory of the complementary temple and stupa (裨補寺塔說) to compensate for the excessive geographical features of Yongbongsan Mountain.

목차

Ⅰ. 머리말
Ⅱ. 龍鳳寺磨崖佛: 新羅下代佛像의 擴散
Ⅲ. 新耕里磨崖佛: 高麗洪州邑治의 裨補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정환. (2023).洪城 龍鳳山 磨崖佛의 特徵과 造成 背景 再檢討. 보조사상, (), 103-132

MLA

진정환. "洪城 龍鳳山 磨崖佛의 特徵과 造成 背景 再檢討." 보조사상, (2023): 103-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