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공지능 기반 창의성에 대한 암묵적 지식: 학문 영역별 전문가 집단을 중심으로

이용수 198

영문명
Implicit Knowledge of AI-powered Creativity: With a Group of Experts in Each Field of Study
발행기관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저자명
이건희(Lee, Gun-hee) 표정민(Pyo, Jungmin)
간행물 정보
『창의력교육연구』제23권 제1호, 45~6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집단이 AI 기반 창의성(AI-powered creativity)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학문 영역에 따라 각 집단 구성원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AI 기반 산출물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암묵적 지식(implicit knowledge)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AI의 영향력과 이에 대한 집단별 전문가 인식의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6개의 학문 분야(공학, 교육/사범, 사회과학, 예술, 인문, 자연과학)에서 박사학위를 소지한 교수자 45명이었으며, 표집은 목적 표집(purposeful sampling)을 사용하였다. 설문내용은 창의적인 산출물의 특성, AI 활용 산출물의창의성 여부, 그리고 AI를 활용한 창의적 산물제작 가능성 유무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창의적 산출물의 특성은 공학, 사회과학 영역에서는 해결성, 교육/사범은 해결성과 정교성이 동일하게 높았고, 예술, 인문, 자연과학에서는 새로움의 특성이 가장 높았다. 또한, 모든 학문 영역에서 Pro-C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AI를 활용한 산물의 창의성 여부에 대해 공학, 인문, 자연과학은 여전히 창의적으로, 다른 학문 영역에서는 창의적이지 않다는 인식이 더 높았다. 마지막으로 향후 AI를 활용한 창의적 산출물제작 가능성은 전 학문 영역에서 ‘가능하다’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AI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창의성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influence of AI-powered creativity and the difference between AI-powered creativity and group perceptions by examining how expert groups perceive AI-powered creativity and what characteristics each group considers important.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concreteness of the output in the academic fiel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t in the fields of engineering, education/normal, social science, art,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and a total of 45 professors in the field were sampled. The survey contents consisted of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products, the creativity of AI-using products, and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creative products using AI.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output were equally high in the fields of engineering and social science, and the resolution and sophistication of education and crime were the same, and the characteristics of novelty were the highest in art,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In addition, the Pro-C level was the highest in all academic fields. There was a higher perception that engineering,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were still creative as to whether products using AI were creative or not, and that they were not creative in other academic areas. Finally,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creative products using AI in the future was relatively high in all academic field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건희(Lee, Gun-hee),표정민(Pyo, Jungmin). (2023).인공지능 기반 창의성에 대한 암묵적 지식: 학문 영역별 전문가 집단을 중심으로. 창의력교육연구, 23 (1), 45-64

MLA

이건희(Lee, Gun-hee),표정민(Pyo, Jungmin). "인공지능 기반 창의성에 대한 암묵적 지식: 학문 영역별 전문가 집단을 중심으로." 창의력교육연구, 23.1(2023): 45-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