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1년도 국내 골재 수급 분석
이용수 48
- 영문명
- Aggregate of Korea in 2021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홍세선 이진영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56권 1호, 87~10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매년 국내 골재의 수요공급이 어떠한 형태로, 얼마만한 양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향후 수급에 대한 전망을 파악하는데 있다. 2021년 국내 골재 총 채취량은 약 1억 3,574만㎥이며, 이 중 모래는 약 4,726만㎥ (35%), 자갈은 약 8,848만 ㎥(65%) 채취되었으며, 허가채취는 약 6,298만㎥(46%), 신고채취는 약 7,276만㎥(54%)이다. 골재원별로 보면 하천골재 약 38만 ㎥, 육상골재 약 348만㎥, 산림골재 약 4,990만㎥, 바다골재 약 922만㎥, 선별파쇄 약 6,736만㎥, 선별세척 약 355만㎥, 그리고 기타신고골재가 약 185만㎥로 선별파쇄골재와 산림골재가 전체 채취량의 약 86%를 차지하고 있다. 광역시도에서는 경기도가 골재를 가장 많이 채취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충청남도, 인천광역시, 경상남도, 충청북도, 강원도, 전라남도, 경상북도의 순이다. 2021년에는 231개 시군구의 약 64%인 148개 시군구에서 골재를 채취하였다. 100만㎥ 이상의 골재를 채취한 시군구는 48개이며, 이들 시군구에서는 전국 채취량의 74%인 약 1억 82만㎥를 채취하였다. 2021년도에는 약 1,000개소 정도의 채취장이 운영되었으나 실제 골재를 채취한 채취장은 약 805개소이다. 선별파쇄가 약 377개소로 가장 많으며, 산림골재는 192개소, 육상골재는 139개소 내외이다. 100만㎥ 이상을 채취한 채취장은 15개소이며, 1만㎥ 미만의 소규모 채취장도 약 85개소이다. 약 372여개의 허가채취장에서 허가기간은 최장 32년에서 최소 2개월이며, 허가기간이 10년 이상인 채취장은 100개소이다. 그러나 2023년 이후 채취가능한 채취장이 약 40%이며, 2021년 수준의 골재 허가채취물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매년 최소한 100개소 이상의 채취장에 대해 허가연장, 신규허가가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duction of aggregate every year, and is to understand the supply and demend prospects. In 2021, the total of 135 million m3 of of aggregates was produced in Korea, a slightly increase from the total production of 2020. Of these, about 47 million m3 of sand and about 88 million m3 of gravel were produced. About 46% of total quantity of aggregates were produced with permission and the rest were aggregates produced after declaration. It estimated that of the 135 million m3 of aggregates in Korea in 2020, about 49.6% was produced by screening crushed aggregate, by 36.8% by forest aggregate, 2.6% by land aggregate, 6.8% by sea aggregate and 2.6% by washing each other, and 0.2% by river aggregate. This indicates that screening crushed aggregate and forest aggregate are the main product as in 2021. Leading producing metropolitan governments were Gyeonggi-do, Chungcheongnam-do, Incheon, Gyeongsangnam-do, Chungcheongbuk-do, Gangwon-do, Jeollanam-do, Gyeongsangbuk-do in order decreasing volume. In 2021, aggregates were produced in 148 local governments, and The 10 leading producing local governments were, in descending order of volume, Hwaseong, Ongjin, Paju, Pocheon, Gwangju, Youngin, Cheongju, Gimhae, Anseong, west EEZ. The combined production of the 10 leading local governments accounted for 30% of the national total, and. 47 local governments have produced aggregates of more than 1 million m3 each other. In 148 local governments that produced aggregate, a total of 805 active operations produced aggregate with 372 operations by river, land and forest aggregate, 433 operations by selective crushed and washing aggregate.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전국채취현황
4. 모래와 자갈
5. 골재원별 채취현황 분석
6. 시군구별 골재채취 현황분석
7. 골재채취장별 현황
8. 결 론
사 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온 고압 환경에서 합성 제올라이트 X의 상전이 비교연구
- Machine Learning for Flood Prediction in Indonesia: Providing Online Access for Disaster Management Control
- Plant Leave as an Indicator for Pollution by Hydrocarbons and Heavy Metals in Al-Zubair City, Southern Iraq
- 2021년도 국내 골재 수급 분석
- 서태평양 마젤란해산군 OSM-XX 해저산 망간각의 광물학적, 지화학적 특성과 고해양 고환경 복원 연구
- 이중층수산화물(layered double hydroxide, LDH) 소재의 국내 연구동향리뷰
- 동시베리아해 대륙붕에서 산출되는 망가니즈단괴의 수심에 따른 형태학적·지화학적 특성 변화
- 국가등록문화재 공주제일교회 스테인드글라스 구조재의 재질특성과 물성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Evidence for Detecting K/Pg Boundary in Bade Section, Dohuk Area, Northern Iraq
- Application of High-Resolution Gravity and Magnetic Data for Fe-Mn-Pb Mineralization Prospecting in Jbel Skindis, Eastern High Atlas, Morocco
- 서부 경기지괴 태안지역의 구조 기하학적 형태 해석 연구: 고원생대 서산층군의 분포 양상으로부터의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