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온 고압 환경에서 합성 제올라이트 X의 상전이 비교연구
이용수 33
- 영문명
- Phase Transition of Zeolite X under High Pressure and Temperature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이현승 이수진 이용문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56권 1호, 13~2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합성 제올라이트 X의 고온 고압 하에서 압력 전달 매개체에 따른 체적탄성계수와 상전이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X-선 분말 회절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올라이트 X에 물과 탄산 용액을 압력전달매개체로 사용하여 상온 상압에서 최대 250 ℃, 5.18 GPa까지 가열 및 가압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단위포 부피 변화와 상전이를 방사광 X-선 회절을 통해 관찰하였다. 르바일의 전체 분말 패턴 분해법이 적용된 GSAS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압력 단계에서 제올라이트 X와 그멜리나이트, 나트로라이트, 스멕타이트의 격자상수와 단위포 부피를 도출하였다. 버치-머내한 2차 방정식이 적용된 EosFIt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제올라이트 X와 스멕타이트의 체적탄성계수를 구하였다. 물을 사용한 실험에서 제올라이트 X의 체적탄성계수는 89(3) GPa, 탄산 수용액을 사용한 실험에서 제올라이트 X의 체적탄성계수는 92(3) GPa이다. 두 실험 모두 최초 가압 시 제올라이트 X 내부로 압력 전달매개체의 유입으로 인한 부피 증가 현상이 발생하였다. 물을 사용한 실험에서 제올라이트 X는 그멜리나이트, 나트로라이트, 스멕타이트로 상전이 하였으며, 탄산 수용액을 사용한 실험에서 제올라이트 X는 스멕타이트로 상전이 하였다. 물을 사용한 실험에서 나타난 제올라이트 간 변화는 탄산 수용액을 사용한 실험에서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이는 특정 제올라이트 생성 조건이 압력 전달 매개체 pH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X-ray powder diffraction study was conducted on the bulk modulus and phase transition behavior of synthetic zeolite X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Water and HCO3- solution were used as a PTM. Sample was heated and pressurized up to 250 °C and 5.18 GPa. The change of unit cell volume and phase transition were observed by X-ray diffraction. The lattice constants and unit cell volume of zeolite X, gmelinite, natrolite, and smectite were calculated using the GSAS2 program to which Le Bail’s whole powder pattern decomposition (WPPD) method was applied. The bulk modulus of each zeolite X and smectite were calculated using the EosFit program to which the Birch-Murnaghan equation was applied. The bulk modulus of zeolite X is 89(3) GPa in water run, and zeolite X is 92(3) GPa in HCO3- solution run. In both run, pressure induced hydration (PIH) occurred due to the inflow of PTM into the zeolite X framework at initial pressure. Zeolite X transited to gmelinite, natrolite, and smectite in water run. Zeolite X, however, transited to smectite in HCO3- solution run. Interzeolite transformation occurred in water run, and did not occur in HCO3- solution run, which is assumed that conflict between the environment to form zeolite and the pH of the HCO3- solution.
목차
1. 서 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및 토의
4. 결 론
사 사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온 고압 환경에서 합성 제올라이트 X의 상전이 비교연구
- Machine Learning for Flood Prediction in Indonesia: Providing Online Access for Disaster Management Control
- Plant Leave as an Indicator for Pollution by Hydrocarbons and Heavy Metals in Al-Zubair City, Southern Iraq
- 2021년도 국내 골재 수급 분석
- 서태평양 마젤란해산군 OSM-XX 해저산 망간각의 광물학적, 지화학적 특성과 고해양 고환경 복원 연구
- 이중층수산화물(layered double hydroxide, LDH) 소재의 국내 연구동향리뷰
- 동시베리아해 대륙붕에서 산출되는 망가니즈단괴의 수심에 따른 형태학적·지화학적 특성 변화
- 국가등록문화재 공주제일교회 스테인드글라스 구조재의 재질특성과 물성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Evidence for Detecting K/Pg Boundary in Bade Section, Dohuk Area, Northern Iraq
- Application of High-Resolution Gravity and Magnetic Data for Fe-Mn-Pb Mineralization Prospecting in Jbel Skindis, Eastern High Atlas, Morocco
- 서부 경기지괴 태안지역의 구조 기하학적 형태 해석 연구: 고원생대 서산층군의 분포 양상으로부터의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