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재난피해자의 회복수준에 대한 지역공동체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이용수 660

영문명
The Effect of Community Resilience on the Recovery Level of Disaster Victims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저자명
임혜선(Lim Hye Sun) 남동엽(Nam Dong Yup) 이기영(Lee Ki Young)
간행물 정보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75권, 5~3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재난피해자가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피해유형과 회복수준의 관계에 공동체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지역사회복지의 관점에서 공동체 회복탄력성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즉, 재난피해경험과 회복수준의 부정적인 관계에 공동체 회복탄력성의 완화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공동체 회복탄력성은 재난관리에서 중요한 개념인 재난 회복탄력성의 구성개념 중 하나로 지역사회가 재난과 같은 위기상황을 겪을 때 필요한 사회적 자원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2021년 재난피해 회복수준 실태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2021 년 재난피해 회복수준 실태조사는 국내에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발생한 자연재난 피해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로 본 연구에서는 가구주 1,807명의 자료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SPSS 25.0을 사용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주요변인의 관계성 확인을 위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고, 연구모델의 분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으로 경험할 수 있는 경제적⋅심리적⋅신체적⋅일상적 어려움은 회복수준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난피해 경험 중 경제적⋅심리적피해와 회복수준의 부적(-) 인 관계에 공동체 회복탄력성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피해자의 회복수준을 증진시키기 위해 지역사회 공동체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공동체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해 지역사회의 사회복지 실천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ty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ster damage types and recovery level of disaster victims. It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seeking ways to enhance community resil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ty welfare. It means, intended to examine the mitigation effect of community resilience on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disaster damage experience and recovery level. Community resilience is one of the important concepts in disaster management. It is one of the social resources needed when community experiences a crisis such as a disaster. This study was using the data from ‘2021 Disaster Victims Damage and Recovery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NDMI). The data came from a sample 1,807 respondents(household) who experienced disasters in south korea, from 2018 to 2020. The program ’SPSS WIN 25.0’ was used for descriptiv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conomic, psychological, physical, and daily difficulties from the disaster experiences had a negative (-)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recovery. Second, it was found that community resilience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and psychological damage and the level of recovery among disaster damage experienc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resilience of the local community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recovery of disaster victims. In order to enhance the resilience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practices of the local community were propos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혜선(Lim Hye Sun),남동엽(Nam Dong Yup),이기영(Lee Ki Young). (2022).재난피해자의 회복수준에 대한 지역공동체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75 (), 5-30

MLA

임혜선(Lim Hye Sun),남동엽(Nam Dong Yup),이기영(Lee Ki Young). "재난피해자의 회복수준에 대한 지역공동체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022): 5-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