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아시아 패권전쟁으로서의 청일전쟁 재조명

이용수 271

영문명
Joseon’s Politics in the Midst of Power Rivalry between Meiji Japan and Qing Empire: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War and Politics in Yun Chi-ho Diary
발행기관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저자명
박영준
간행물 정보
『한국정치외교사논총』제44집 제2호, 57~8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청일전쟁에 대해서는 그동안 역사학계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본 고는 동아시아 패권전쟁의 시각에서 청일전쟁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다만 국력의격차를 전쟁원인으로 간주하는 일반적인 패권전쟁 이론보다는, 강대국 간의 경쟁에서 중간국가의 역할이 전쟁의 도화선이 되어왔다는 관찰에 주목하였다. 이같은 시각에 따라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과 청국 간에 세력경쟁이 진행되어 가는 가운데, 조선의 정치세력이 어떠한 정세 인식 하에 대외정책적 선택을 하였는가를 살펴본다. 그 결과 청국과 일본 간의 세력경쟁이 진행되는 가운데, 조선 내 정치세력 간에 친일적 개화파와 친청적 개화파 등의 대립이 격화되면서임오군란과 갑신정변 등의 정변을 일으킨 것이 양대 지역강국 간에 조선에 대한 개입을 초래하였고, 결국은 전쟁의 원인이 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윤치호일기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조선의 정치와 미래에 대한 절망과 자포자기적인식이 결국은 주권 상실의 길로 연결된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tries to shed light on the first Sino-Japanese war(1894-1895) from the perspective of hegemonic war. Generally, hegemonic war theories emphasizes differential growth of national power among great powers as one cause of major war. However, some theorists pointed out that foreign policies of middle powers in the midst of great power rivalry can ignite direct confrontation between two powers. Based on this observation, this paper explains what policy did Joseon dynasty take during the power rivalry between Qing Empire and Meiji Japan in the late 19th century. In the face of growing rivalry between Meiji Japan and Qing Empire, politicians in Joseon dynasty began to be divided into pro-Japan faction and pro-Qing faction each other; eventually two factions harshly confronted through Imo military rebellion(壬午軍亂) and Kapsin political upheaval(甲申政變). These internal political clash invited neighboring powers intervention into Joseon’s politics and ignited two powers’ direct confrontation over Korean peninsula’s dominance. Joseon’s younger intellectual Yun Chi- ho’s diary illustrated well how did Joseon’s junior politicians lose the vision of their dynasty’s future and expected advanced foreign countries’ intervention into Joseon’s internal politics.

목차

1. 문제의 제기
2. 메이지 유신 이후 청일 관계의 재편과 조선 정치
3. 임오군란 및 갑신정변과 청일간 대립 구도 전개
4. 청일간 대립 구도 하의 조선 정치세력 대응
5. 맺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영준. (2023).동아시아 패권전쟁으로서의 청일전쟁 재조명. 한국정치외교사논총, 44 (2), 57-82

MLA

박영준. "동아시아 패권전쟁으로서의 청일전쟁 재조명." 한국정치외교사논총, 44.2(2023): 57-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