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Analysis of Expenditure Determinants of Southeast Asian Tourists Visiting Korea
- 발행기관
- 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차주영 이희찬
- 간행물 정보
- 『관광경영연구』제23권 제1호, 209~22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1.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pending behavior of the Southeast Asian market as a potential market with a high possibility of future growth in order to preemptively cope with diversification of overseas tourism market, and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for attracting foreign visitor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the Korea Culture and Tourism Research Institute on the outlook of foreign tourists in 2016. The spatial range was limited to three major countries including Singapore, Thailand, and Malaysia. The Tobit model was applied to estimate the expenditure determinants. The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in the model are total tourism expenditure and expenditure by type, including food, beverage, shopping, and entertainment related costs. The explanatory variables affecting tourism expenditure in Southeast Asia include variables related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urism behavior characteristics. In China, when compared with Southeast Asian countries, the respondents who visited Korea for leisure, amusement, and vacation were more likely to spend more on total expenditures and shopping spending. And that they spend a lot of money. In the case of Singapore, it was found that those who came to Korea for the purpose of leisure, amusement and vacation and those who visited Korea for the first time had relatively more total expenditure and shopping expenditure. As in China, women showed relatively higher total expenditure and shopping spending, especially for younger women. In the case of Thailand, it is found that professional women have relatively higher total expenditure and shopping expenditure. On the other hand, young people in non-professions showed relatively high expenditure on entertainment. In Malaysia, families with relatives and relatives returning to Korea are more likely to spend more on total expenditure and shopp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호텔 종업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방한 동남아 관광객의 지출결정요인 분석
- 저비용항공사에 대한 고객태도 사례연구
- 항공사 객실승무원 팀의 특성이 교류기억체계(TMS)와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스토리텔링 선택속성이 브랜드자산, 브랜드 태도,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나홀로 여행 트렌드 분석
- 객실승무원의 기내 안전 활동이 탑승객의 신뢰와 안전태도에 미치는 영향
- 외식기업의 현금보유에 대한 레버리지의 영향
- 호텔종사원이 경험한 포용적 리더십이 심리적 안정감을 매개로 하여 창의적 업무 관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커피전문점 리더의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신뢰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군산 선유도 관광선택속성 IPA분석
- 문화예술관광의 도시브랜드일치와 도시재생사업 효과가 도시이미지, 도시재생 관여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커피전문점에 대한 물리적 환경, 점포에 대한 감성, 만족에 관한 연구
- 생태관광지의 체험요소가 브랜드자산과 지역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 호텔기업 고객관계관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항공사 객실승무원이 지각하는 성과주의 문화가 조직냉소주의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旅游者的道德自我认同与文明行为管理研究
- 지식플랫폼으로서 전시컨벤션 클러스터 효과에 관한 연구
- 축제참가자의 경험적 가치가 감정반응 및 축제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농촌관광마을 서비스품질이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여가 만족이 생활만족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부산지역 관광산업 및 관광수요의 특성
- 여행상품 온라인 유통채널 인식에 따른 채널만족, 채널신뢰 및 채널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현장실습교육이 교육훈련 전이 및 직업선택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리조트 방문객의 웰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주관적 행복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스마트 관광 비즈니스 확장을 위한 여행플랫폼 모델의 탐색적 연구
- 관광동기에 따른 관광행동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
-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감정노동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어촌마을 재생사업의 지역주민 인식 조사 연구
- 디저트 카페의 물리적 환경과 고객가치, 소비감정, 행동의도 간의 관계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