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로욜라의 성 이냐시오 자서전』의 문헌적 원천에 관한 해석학적 탐구의 필요성 연구
이용수 63
- 영문명
- A Study on the Necessity of the Hermeneutic Study in Literary Sources of the Autobiography of St. Ignatius of Loyola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 저자명
- 김영훈
- 간행물 정보
- 『신학과철학』제42호, 275~30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초창기 예수회원들이 새롭게 창립된 예수회의 정체성과 사명을 확립하고 가르치기 위한 목적으로『로욜라의 성 이냐시오의 자서전』을 저술하고 편집하였다는 점을 해명하는 데 있다. 선행 연구들은『자서전』의 문헌적 성격에 관해 다양한 의문을 표현하며 이냐시오의 저자로서의 권위에 관하여 질문한다. 현대의 연구들은 디에고 라이네스(Diego Laínez)와 후안 알퐁소 데 폴랑코(Juan Alfonso de Polanco)의 글을『자서전』의 문헌적 원천으로 진지하게 고려하며 루이스 곤사우베스 다 카마라(Luís Gonçalves da Câmara)가『자서전』저술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그러나 오늘날의 연구들이 간과하는 점은『자서전』이 왜 작성되었고 무엇을 말하고자 했는지에 관한 역사맥락적 관점이다.
본고는『자서전』의 역사적 계보를 개괄하며 편찬 과정에서 드러난 복잡성을 면밀히 살펴본다. 또한『자서전』 연구의 여러 가지 난점들을 드러내며 현대의『자서전』 연구의 핵심 쟁점들을 검토한다. 그러고 나서 본 연구는『자서전』과 관련된 일차 사료들을 재검토하는 데, 특히, 헤로니모 나달(Jerónimo Nadal)과 카마라의 서문, 라이네스와 폴랑코의 기록, 그리고 이냐시오의 친필 서한 등이다. 이를 통해 본고는 기존의 문헌 중심적인『자서전』탐구에 역사맥락적인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문헌적 원천과 편집 과정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밝힌다. 결론적으로 본고는『자서전』의 해석적 탐구가 텍스트의 이해를 풍요롭게 하고 오늘날의 독자들을 회심과 쇄신으로 초대할 것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the fact that the first Jesuits wrote and edited the Autobiography of St. Ignatius of Loyola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nd teaching the religious identity and mission of the newly established Society of Jesus. Previous research papers have raised many significant questions about the literary nature of the Autobiography, in particular about Ignatius’s authority as author. They have taken the writings of Diego Laínez and Juan Alfonso de Polanco as literary sources for the work and stressed that Luís Gonçalves da Câmara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writing process. However, such studies have overlooked the historical-contextual approach why the Autobiography was written and what it was intended to convey.
The present study scrutinizes the historical genealogy of the Autobiography and the complexity of the publication process. Also, this article points out the several difficulties in those studies of the Autobiography and investigates critical issues in recent research papers. Then it re-examines the primary literary sources of the work, in particular Jerónimo Nadal and da Câmara’s preface, Laínez and Polanco’s life of Ignatius, and Ignatius’ handwritten letter. It proposes a historical-contextual approach to supplement the existing text-centered approaches so as to further elucidate its purpose of the sources and compilation process. In conclusion, this hermeneutic study can enrich the understanding of the text and invite today’s readers to conversion and renewal.
목차
들어가는 말
1. 『자서전』 형성의 역사와 현대적 맥락
2. 『자서전』의 문헌적 원천과 편집 고찰
3. 『자서전』 해석의 열쇠: 이냐시오의 회심과 예수회 행동 양식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창세 1,1-4a 해석에 나타난 “conversio”의 삼위일체적 구조
- 우리는 ‘곧’ 필요 없는 존재가 될 것인가?
- Toward an Authentic Spiritual Subjectivity: Reflections on Rahner’s Theological Transcendental Anthropology
- 생티에리의 기욤의 『아가 주석』에 대한 연구
- 실재와 실재성의 해석학
- “청년 예수”를 따라 살아가는 “청년” 그리스도인
- 현실과 가상의 경계에 관한 신실재론적 고찰
- 시노달리타스를 향한 사목적 회심
- 새『교리교육지침』과 한국 천주교 청소년 교리교육의 방향
- 『로욜라의 성 이냐시오 자서전』의 문헌적 원천에 관한 해석학적 탐구의 필요성 연구
- 실재란 무엇인가?
- 신학과철학 제42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