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새『교리교육지침』과 한국 천주교 청소년 교리교육의 방향
이용수 99
- 영문명
- The New Directory for Catechesis and Orientations for Youth Catechesis in Korean Church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 저자명
- 곽진상
- 간행물 정보
- 『신학과철학』제42호, 193~238쪽, 전체 4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8,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2020년 발행된 교리교육지침의 새로움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새로움이 한국교회의 교리교육, 특히 청소년 교리교육에 어떤 의미를 주는지에 대해 탐구한다. 이를 위해 과거의 교리교육지침들(1971년의『교리교육일반지침서』, 1997년의『교리교육총지침』)과 비교하고, 그로부터 새롭게 부각되고 발전된 사항들을 세 가지로 지적한다.(역사적, 간텍스트적 접근, 기초-실천신학적 접근) 그것은 첫째, 선교적 관점에서 복음선포적 교리교육으로 전환이다. 포스트 모더니즘의 청소년 교리교육은 신앙을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신앙을 불러일으키는 ‘첫 복음선포’의 역할까지 자신의 사명으로 인식한다. 둘째, 삶과 유리된 추상적 교리와 의무적인 계명과 윤리를 가르치는 교리교육에서 그리스도의 ‘아름다움’을 증언하고 권유하는 교리교육으로 전환이다. 신앙 내용의 매료적 차원이 중요한 원리로 작용한다. 셋째, 신앙 ‘주체’를 형성하는 교리교육으로 전환이다. 청소년들은 단순한 교리교육의 대상자가 아니라 복음선포의 능동적 주체이며 주역으로 이해되고, 그들을 동반하는 교리교육 교리교육이어야 한다. 교수법적으로 ‘동반의 교육학’이 요청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what is new in the Directory for Catechesis promulgated in July 2020 and what it means to the catechesis of the Korean Church, particularly to youth catechesis. To this end, new emphasis and developments in this new Directory are derived(historical, intertextual, and fundamental-practical theological approaches) by comparing it to the previous two catechesis Directories (GCD in 1971, GDC in 1997), and three new orientations are proposed for the catechetical renewal. The first is a conversion from the missionary point of view to the kerygmatic catechesis. The postmodernist catechesis for the youth does not presuppose their faith, but includes the role of the first announcement which is to awaken their faith. The second is a conversion from the kind of catechesis that instructs abstract doctrines, obligatory commandments, and ethics separated from life to a catechesis that proposes the beauty of Christ. This is an innovative change in fides quae. The third is a conversion to a catechesis aiming for the formation of the ‘subject’ of faith. The youth should be understood as active subjects and protagonists of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not merely as objects of catechesis, and therefore the catechist must accompany them. Pedagogically speaking, a ‘pedagogy of accompaniment’ is required.
목차
서론
1. 복음선포적(선교적) 교리교육
2. 복음의 아름다움을 선포하는 교리교육
3. 복음선포적 신앙 주체의 양성과 ‘동반의 예술’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창세 1,1-4a 해석에 나타난 “conversio”의 삼위일체적 구조
- 우리는 ‘곧’ 필요 없는 존재가 될 것인가?
- Toward an Authentic Spiritual Subjectivity: Reflections on Rahner’s Theological Transcendental Anthropology
- 생티에리의 기욤의 『아가 주석』에 대한 연구
- 실재와 실재성의 해석학
- “청년 예수”를 따라 살아가는 “청년” 그리스도인
- 현실과 가상의 경계에 관한 신실재론적 고찰
- 시노달리타스를 향한 사목적 회심
- 새『교리교육지침』과 한국 천주교 청소년 교리교육의 방향
- 『로욜라의 성 이냐시오 자서전』의 문헌적 원천에 관한 해석학적 탐구의 필요성 연구
- 실재란 무엇인가?
- 신학과철학 제42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