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로컬푸드의 지각된 가치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51
- 영문명
- Effect of Perceived Value of Local Food on Repurchase Intention: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전영미(Jeon, Young-Mi)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17권 3호, 19~3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로컬푸드는 소비자가 직접 생산지에서 구매하기 때문에 생산지의 경제, 문화 환경적 지속가능성이 고려되어 로컬푸드는 생산자에게 혜택이 발생할 수 있다. 로컬푸드는 지속가능한 농업, 안전한 먹거리, 그리고 환경 부담 등과 같은 다양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로컬푸드에 대해 비용을 지불하고 식품의 가치를 구매하기 때문에 가치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 본 연구는 로컬푸드의 가치 속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계획행동이론을 사용설문 조사 대상은 분석을 위해 최근 6개월 이내에 로컬푸드를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는 2021년 10월 4일부터 10월 13일까지 실시되었으며 307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응답 중 불성실한 4부를 제외한 303부가 이용되었다. 분석 결과, 기능적 가치는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감정적가치, 경제적가치, 그리고 사회적가치는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적 가치와 경제적가치는 주관적 규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감정적가치와 사회적가치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도와 주관적 규범, 그리고 지각된 행동 통제는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Since consumers purchase local food directly from the production area, local food can benefit producers considering the economic, cultural,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of the production area. Local food has various effects such as sustainable agriculture, safe food source, and environmental burden. Research on the values of local food is important because consumers pay for local food and purchase the values. This study is to study the effects of value attributes of local food on purchase intention. Using the behavioral theory, the study planned to analyze the subjects of the survey who were customers that had purchased local food within the past 6 month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4 to October 13, 2021, and 30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Of the recovered responses, 303 copies were used, excluding 4 insincere ones. The analysis showed that functional valu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but emotional values, economic values, and social values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ttitude. In addition, functional and economic values did not appear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norms, but emotional and social valu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Attitude,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20-40대 한국 남녀 성인의 밀키트 이용실태와 영양지수
- 경제적 어려움이 청소년의 외로움 및 사회적 고립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소통․협력의 조절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잠재프로파일 분석에 따른 중학생의 교우관계 특성 유형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 아동이 경험하는 부모의 사랑에 관한 연구
-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주의집중 문제와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