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제 사비기 왕궁과 사원의 기와 수급 방식과 와공의 동향

이용수 303

영문명
Distribution of Roof Tiles for the Royal Palace and Buddhist Temples and the Tendency of Tile Makers in the Sabi Baekje Period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저자명
이병호
간행물 정보
『마한백제문화』제40집, 52~82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백제 사비기 왕궁과 사원의 기와 생산 및 유통 방식의 차이를 밝히고, 기와를 전문으로 생산하던 와공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2장에서는 사비기 왕궁과 사원의 수막새 사용 방식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사비기의 왕궁구역이라 할 수 있는 부여 부소산성과 관북리·구아리·쌍북리유적, 익산 왕궁리유적에서 출토된 수막새들은 원형돌기형과 삼각돌기형, 파문·소문 등이 서로 비슷한 문양을 공유하거나 고수하면서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모습이 확인된다. 이에 반해 부여 능산리사지와 군수리사지, 왕흥사지, 익산 제석사지와 미륵사지 등 사비기 주요 사원에서 출토되는 수막새들은 각 사원마다 최소 2종류 이상의 각기 다른 새로운 문양이 새롭게 만들어져 사용되고 있다. 왕궁구역에서는 새로운 건물의 신축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 기와 제작도구에 관한 관리와 통제가 있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3장에서는 왕궁구역과 사원의 기와 수급방식과 그에 따른 와공의 동향에 관해 검토하였다. 사비기 주요 사원들은 사원 전용가마나 사원 전용가마와 외부의 기와가마, 국가적인 관영 기와가마 등지에서 기와를 공급받고 있었다. 왕궁구역에서는 서천 금덕리 가마, 정암리 가마, 정동리·왕진리·현북리 가마 등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 기와 공방의 수가 많아지고 대규모화 된다.익산 연동리 가마터 출토품들은 부여 지역의 관영공방에 소속된 와공들이 익산 현지에서 기와를 생산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왕흥사지 가마터는 다른 관영공방에서 활동하던 와공들을 임시적으로 조직화한 다음 기와를 생산하는 모습이 확인되어 새로운 변화의 전환점을 이룬다. 청양 왕진리·관현리· 본의리 가마터에서는 정암리 가마나 서천 금덕리 가마 등 기존 대규모 관영공방에서 활동하던 와공들 이 새롭게 분지화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서산 신산리와 청양 분향리, 예산 수덕사와 논산 천호리에서 수집된 수막새들은 중앙 관영공방 소속 와공이 단기간에 출장 형식으로 파견되어 기와를 생산한 결과로 생각된다. 이러한 변화는 6세기 후반 사비 도성 내외 기와 건물의 급증에 따라 기와를 대량으 로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 것에 대응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differences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ceramic roof tiles us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royal palaces and Buddhist temples of Baekje in the Sabi period (538-660) and the changes that occurred in the activities of the tile makers.The discussion in Chapter 2 is focused on the differing ways in which ceramic roof tiles were used in the construction of royal palaces and temples during the Sabi Baekje period. The convex roof-end tiles excavated at the sites of Baekje’s royal palaces, including those at Busosanseong Fortress, Archaeological Site in Gwanbuk-ri, Gua-ri and Ssangbuk-ri Buyeo, shared similar decorative motifs such as circular and triangular dots and waves for a long period of time. Conversely, the convex roof-end tiles discovered at temple sites dating back to the Sabi Baekje period, such as Temple Sites in Neungsa-ri and Gunsu-ri, and Wangheungsa Temple Sie in Buyeo, and Jeseoksa and Mireuksa Temples in Iksan, show that more than two new motifs were introduced at that time. The difference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new buildings continued to be added to the royal palaces, making necessary stricter management and control of the tile manufacturing facilities and equipment.In Chapter 3, the discussion deals with the ways in which roof tiles were produced and distributed for the construction of royal palaces and temples and the tendencies of tile makers. The roof tiles of new Buddhist temples built during the Sabi period were supplied by both state-run kilns and private kilns specializing in the production of roof tiles for Buddhist temples. The construction of palace buildings in the Sabi period led to continuous growth inthe size and number of tile kilns, as can be seen in the kiln sites at Geumdeok-ri, Jeongam-ri, Jeongdong-ri, Wangjin-ri and Hyeonbuk-ri. The discoveries made at the Yeondong-ri kiln site in Iksan suggest that the tile makers hired by the government-run workshops in Buyeo produced the roof tiles required for construction projects in the Iksan area. The excavation of the Wangheungsa Temple kiln site has revealed that the operator of the kiln organized temporary teams of tile makers from among workers at other kilns, suggesting a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tile production in Baekje. Analysis of the archaeological features has also revealed that the tile kilns of Wangjin-ri, Gwanhyeon- ri and Bonui-ri in Cheongyang were created by tile makers who had previously worked at the larger, government-financed kilns in Jangam-ri and Geumdeok-ri in Seocheon. The appearance of the convex roof-end tiles discovered at the kiln sites in Sinsan-ri of Seosan, Bunhyang-ri of Cheongyang, Sudeoksa Temple in Yesan, and Cheonho-ri of Nonsan suggests that they were produced by tile makers sent from the government-run kilns in the capital of Baekje for short-term local projects. Such changes in Baekje’s tile production system resulted from the effort to meet the need for a new system to ensure the mass production of roof tiles, effectively meeting the rapidly growing demand related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fortified capital of Sabi in the late sixth centur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왕궁과 사원의 기와 사용 양상
Ⅲ. 사비기 기와 수급 방식과 와공의 동향
Ⅳ.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병호. (2022).백제 사비기 왕궁과 사원의 기와 수급 방식과 와공의 동향. 마한백제문화, (), 52-82

MLA

이병호. "백제 사비기 왕궁과 사원의 기와 수급 방식과 와공의 동향." 마한백제문화, (2022): 52-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