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공데이터 제공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음식점 공공데이터 표준화

이용수 15

영문명
The standardization of restaurant data in public database for maximizing data utilization
발행기관
한국관광학회
저자명
오문향
간행물 정보
『관광학연구』제46권 제2호, 163~18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음식점 공공데이터를 활용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요구하는 최적의 음식점 데이터필드 구성안을 도출하고 데이터 항목간 우선순위를 설정하기 위함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음식관광 데이터 수집 및 가공 전문업체 CEO 대상 심층인터뷰를 통해 음식점 공공데이터 계층구조를 설정하고 업계, 학계, 공공/지자체 음식관광분야 전문가 2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된 연구문제는 1) 원활한 음식관광 서비스 개발과 음식점 품질관리를 위해 우선적으로 구축되어야 할 음식점 데이터가무엇인지, 2) 업계, 학계, 공공/지자체 간 음식점 데이터 항목별 상대적 우선순위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이며, 연구결과를 통해 음식점 데이터간 우선순위를 식별하고 음식점 공공데이터를 활용하는 이해관계자간 의견 차이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분석 결과 도출된 음식점 공공데이터는 ‘기본 정보’, ‘영업 및 예약 정보’, ‘시설 및 관광 정보’, ‘메뉴및 분위기 정보’, ‘서비스 및 품질 정보’의 5개 상위개념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르는 15개 하위개념, 44개세부항목이 정리되었다. 음식점 데이터 항목간 의견 차이를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업계 응답자들은 전체 평균에비해 ‘서비스 품질 정보’와 ‘시설 및 관광 정보’의 상대적 중요도를 더 높게 평가하는 반면, 학계 응답자들은 전체평균에 비해 ‘메뉴 및 분위기 정보’와 ‘기본 정보’를, 공공/지자체 응답자들은 전체 평균에 비해 ‘메뉴 및 분위기 정보’와 ‘영업 및 예약 정보’의 상대적 중요도를 더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음식점 공공데이터 표준 항목을 제시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 표준화를 통한 데이터 품질 관리 및 데이터 활용도 향상에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도출된 음식점 공공데이터 세부항목들은 향후 스마트음식관광 서비스 개발을 위한기초자료로서 활용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optimal configuration of restaurant data fields as required by various stakeholders utilizing public data and to establish priorities among data item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restaurant data hierarchy was establish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with an industry expert, and we conducted online surveys with 28 experts in the restaurant industry, academia, and government/public institutions. The main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were: 1) what kind of restaurant data should be established first for food tourism service development and restaurant-quality control, and 2)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lative priorities of restaurant data items. The restaurant data in the public data derived from the analysis can be divided into five top concepts: “Basic Information”, “Operation and Reservation Information”, “Facilities and Tourism Information”, “Menu and Ambiance Information”, and “Service and Quality Information”, and 15 sub-concepts and 44 detailed items were derived. Industry respondents rat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Service and Quality Information” and “Facilities and Tourism Information” higher than the overall average, while academic respondents rat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Menu and Ambiance Information” and “Basic Information” higher than the overall averag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 respondents rat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Menu and Ambiance Information” and “Operation and Reservation Information” higher than the overall averag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국문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문향. (2022).공공데이터 제공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음식점 공공데이터 표준화. 관광학연구, 46 (2), 163-187

MLA

오문향. "공공데이터 제공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음식점 공공데이터 표준화." 관광학연구, 46.2(2022): 163-1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