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4장 민족의 전통사상과 정체성

이용수 4

영문명
Traditional thought of the nation and identity
발행기관
한국민족사상학회
저자명
김진윤
간행물 정보
『민족사상』제6권 제2호, 107~13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상북도는 찬란한 신라 천년의 불교문화와 신비의 가야문화 그리고 선비정신의 유교문화 등 민족문화의 본산지이자 한국문화의 얼굴이고, 호국충절의 고장으로 국난극복의 보루였으며, 새마을운동과 자연보호운동 등 국민정신운동의 발상지이기도 하다고 한다. 그래서 경북인은 주도적이고 창조적이고 역동적이고 도전적이고 미래지향적이라고 한다. 특히 가난에서 풍요를 향한 도전정신이 새마을정신이고 그 실천이 새마을운동이며 오늘날의 대한민국의 현실이 그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들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찬란한 문화적 유산, 즉 외형적 유산이나 정신을 재현하고 답습에 머문다면 시대적 낙오자이다. 우리는 그 외형적 유산이나 정신에서 선조들이 그것을 만든 동기와 정신을 이어받아야 한다. 오늘날 우리가 밝혀야 할 것은 화랑문화, 불교문화, 선비문화, 근대화와 새마을정신 그 자체가 아니라 그러한 문화를 받아들이고 만들어 내었던 근원적 마음과 자세인 내재적 동기를 찾아야 한다. 그 동기가 역사적으로나 현실적으로나 도전과 혁신이며, 사회적 국가적 헤게모니를 장악하는 수단과 결과물로써 영광스러운 문화적 유산을 남긴 원동력이다.

영문 초록

Gyeongsangbukdo is the birthplace of the brilliant Silla Millennium Buddhist culture and the mysterious Gaya culture and Confucian culture of spirit of the scholar. It was national culture birthplace and Korea Culture's face, and the area of the defense spirit and the bulwark of overcoming national emergency, and was the birthplace of the national spirit exercise and the New community Movement and the nature protection movement. So residents took over the Hwarang spirit and the spirit of the scholar, faith and endurance, spirit and strong sense of justice, which emphasizes the protagonist as an illustrious future of industrial modernization also has a pioneering spirit. Therefore residents of Gyeongbuk is a dynamic, driven and creative, challenging and future oriented. Due to this identity challenge of poverty and towards affluence is New community Movement sprit, New community Movement is the spirit and its practice, the reality of today's Republic of Korea as may be the result. But If we recreate a brilliant cultural heritage which our eyes can see, namely superficial abortion and the spirit, we is the underdog. we must be followed the motivation and the spirit that made it from the superficial heritage of our ancestors. If we stay in a fixed form of superficial heritage, we lags behind the times. Now that we have to abandon the stereotypes about identity, we can accept new things. Today, Never we have to reproduce the Hwarang culture, Buddhist culture, scholars culture, modernization and new community spirit itself, we should find the fundamental heart and intrinsic motivation which such a culture was created. Challenge and innovation for a better life, change and creation for solutionof a given adversity, these things need to promote self-esteem and self-esteem and its fundamental attitude of mind, and these would melt to themself. Therefore, In response to historical and social requests, constantly the challenging attitudes and innovation to find the answer only can solve practical challenges.

목차

Ⅰ. 서론
Ⅱ. 경북정체성의 근원
Ⅲ. 탈정체성의 정체성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윤. (2012).제4장 민족의 전통사상과 정체성. 민족사상, 6 (2), 107-137

MLA

김진윤. "제4장 민족의 전통사상과 정체성." 민족사상, 6.2(2012): 107-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