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4장 퇴계와 남명의 山水觀과 書院立地에 관한 考察

이용수 78

영문명
A study on the view of landscape and auditorium position of Twoegae and Nammyeong
발행기관
한국민족사상학회
저자명
반오석
간행물 정보
『민족사상』제5권 제1호, 109~149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3.31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풍수는 역사적으로 先儒들에 의해 수용지침과 함께 전해왔으며 유학자들이 전통적으로 논의 했던 것이라 무시할 수가 없고, 그래서 현실적으로 수용되어 온 측면도 있다. 이들이 주장하는 것은 孝子之心, 땅의 美醜, 安葬을 고려하는 수준이 풍수의 효용성이라는 것이다. 조선시대는 특히나 程·朱學의 성리학이 국가이념이었기에 유학자들이 풍수를 사용하지 않았을 것이라 생각하기 쉽다. 그렇지만 程子와 朱子 모두 풍수를 활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시대 사대부들은 풍수를 程子, 朱子 등에 의해 수용지침과 함께 전해오는 것에 영향을 받기도 하고, 또한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이용하였던 것이다. 고건축은 살아있는 역사이며, 자연을 담고 있는 그릇이다. 그 중 서원건축은 사대부의 사상과 풍수가 배어있는 고건축이기도 하다. 자연을 담고 있는 그릇이 고건축이라는 것은 풍수시각으로 볼 때 비로소 드러난다. 고건축을 지었던 우리 선조들의 건축시각과 건축술에는 항상 유교와 풍수시각들이 자릴 했기 때문이다. 서원도 그런 고건축 중의 하나다. 여기서는 조선사대부들의 풍수수용 지침을 그들의 건축물에 어떻게 투영하였는지 書院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영남의 巨儒로 알려져 있으며 16세기 조선의 사상계를 대표하는 학자이며 영남학파의 양대산맥이라 할 수 있는 퇴계와 남명, 두 사람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남명은 풍수적으로 결함 있는 山天齋와 德川書院의 터를 風水裨補하여 완벽한 땅을 만들어 풍수적인 기운을 받고자 했음을, 퇴계는 서당 터 잡기의 어려움과 도산서당이 풍수적으로 완벽한 땅임을 스스로 밝히는 것을 『도산잡영』의「도산잡영병기」를 통해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Historically, geomancy has been come down by the previous Confucian scholars with accepting directions, and it cannot be ignored, because it has traditionally been discussed by them, so it has been accepted to some extent in reality. They insisted that its utility was such as to consider the mind of devoted sons, beauty and ugliness of earth and burying to rest. It is easy to think that Confucian scholars did not use geomancy, because Neo-Confucianism of the study of Cheng·Zhu(程·朱學) was expecially national ideology in the Joseon Dynasty. But it is known that both Chengzi (程子) and Zhuzi(朱子) used geomancy. The nobilities in Joseon Dynasty were influenced by the accepting directions and tradition from Chengzi(程子) and Zhuzi(朱子), and consistently has been used it in the realistic and practical aspect. Classical architectures are living history and a tool containing nature. Among them, auditorium architectures are classical ones bearing the thought and geomancy of the nobilities. It is exposed that a tool containing nature is a classical architectures in terms of geomancy for the first time. Because there were always Confucianism and geomantic principles in the architectural view and the art of building of our ancestors. Auditoriums were one of those classical architecture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how they projected the directions for geomancy of Joseon nobilities on to their building by focusing on auditoriums. Especially, this study searched for the two person, Twoegae and Nammyeong, who were known as great Confucian scholars in Yeongnam and were scholars representing the circles of thought in 16 century or Jeoseon and were able to be called the two prominent scholars of Yeongnam School. It is understood that Nammyeong tried to get geomantic energy by making Sahcheongae and Deokchon Auditorium with demerit in geomancy a perfect place with the help and supplement of geomancy, and Twgae revealed that it was hard to settle the auditorium and the ground of Dohsahn Auditorium was perfect in geomancy from Dohsahn-Japyeong and Dohsahn-Japyeong-Byeonggi.

목차

Ⅰ. 서론
Ⅱ. 퇴계의 山水觀과 書院立地(陶山書堂, 陶山書院)
Ⅲ. 남명의 山水觀과 書院立地(山天齋, 德川書院)
Ⅳ. 퇴계와 남명의 山水觀과 書院立地 비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반오석. (2011).제4장 퇴계와 남명의 山水觀과 書院立地에 관한 考察. 민족사상, 5 (1), 109-149

MLA

반오석. "제4장 퇴계와 남명의 山水觀과 書院立地에 관한 考察." 민족사상, 5.1(2011): 109-1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