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3장 국가보훈과 한반도 통일
이용수 9
- 영문명
- The Veterans Welfare and the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 On Setting up the Concept of the Studies of Veterans Welfare
- 발행기관
- 한국민족사상학회
- 저자명
- 윤황
- 간행물 정보
- 『민족사상』제5권 제1호, 81~10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의 연구목적은 한국에서 ‘국가보훈학’의 새로운 개념정립과 관련하여 그 개념 속에 한반도 통일의 함의된 필요성을 규명함으로써 국가보훈과 한반도 통일을 위한 국가보훈학의 개념 정립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그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보훈학의 개념정립을 위해 국가보훈의 시원(始原), 국가보훈과 국가보훈학의 개념, 국가보훈학의 성격을 규정했다. 둘째, 국가보훈학 개념 속에 한반도통일의 함의 필요성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국가보훈의 가치의식, 국가보훈의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 등 제 분야의 통합이라는 전제 하에 한반도 통일 또는 통합, 탈냉전 이후 협력 및 통합 현상에 따른 한반도 통일의 창출 기회와 도전 등에서 찾아보았다. 셋째, 국가보훈과 한반도 통일을 위한 국가보훈학의 개념은 남과 북의 화해와 협력, 한반도 평화의 구축, 남북경제공동체의 건설, 동북아 및 국제사회의 기여 등이 함의되는 방향에서 새롭게 정립되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t up the concept of the studies of veterans welfare by studying the necessity of the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which implicit in the meaning of veterans welfa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set up the concept of the studies of veterans welfare, this paper defined the concept of the veterans welfare and the studies of veterans welfare, the origin of the veterans welfa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veterans welfare. Second, The necessity of the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which implicit in the concept of the veterans welfare can be traced not only in values of the veterans welfare but also in the integrating function of the veterans welfare in the field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etc. Third, the concept of the studies of veterans welfare should be redefined in the direction for the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building peace in Korean peninsula, establishment of Korean economic community, and the contribution to Northeast Asia and international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국가보훈학의 개념정립: 새로운 개념의 시도
Ⅲ. 국가보훈과 한반도통일 : 국가보훈학의 새로운 개념 정립방향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NEW
- South Korea's Democracy at a Crossroads
- Korea Observer Vol 56, No 1 Contents
- South Korea-U.S. Relations in a New Era: Ideological and Structural Sources of Continuity and Chang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