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산업화와 숲의 보호
이용수 75
- 영문명
- Industrialization and Forest Protection: Three faces of German Forests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 발행기관
- 한국독일사학회
- 저자명
- 고유경(Ko, Youkyung)
- 간행물 정보
- 『독일연구』Vol.50, 39~76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1900년 무렵 독일인들의 숲 인식에 반영된 집단 정체성 을 검토하고, 숲에 대한 관심이 이들을 독일 환경운동의 선구자로 만들었다 는 점을 강조하는 데 있다. 산업화는 독일 숲의 훼손을 야기했으며, 결과적 으로 독일인들이 숲 보호에 관심을 갖도록 만들었다. 그러나 그 동기는 계 층 또는 계급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지주들에게 숲이 목재 생산성 증대라 는 경제적 가치 때문에 중요했다면, 시민들의 숲은 민족 정체성을 담은 공 동의 자산이었다. 반면 노동계급에게 숲은 힘든 노동의 현실을 위로하고 계 급의식을 고양하는 교사의 역할을 했다. 그러나 이렇듯 다양한 동기가 어우러진 20세기 전환기 독일인들의 숲 보호를 위한 노력은 그들을 독일 환경 운동의 첫 세대로 만들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ollective identity reflected in German perceptions of forests around 1900, and to emphasize that interest in forests made them pioneers of the German environmental movement. Industrialization caused the destruction of German forests and consequently made Germans interested in forest protection. However, the motives were different for each class. If forests were important to landowners because of their economic value of increasing timber productivity, educated citizens' forests were a common asset with national identity. On the other hand, for the working class, forests played the role of teachers who consoled the reality of hard work and raised class consciousness. However, the efforts of Germans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to protect forests, combined with such diverse motives, made them the first generation of the German environmental movement.
목차
Ⅰ. 서론
Ⅱ. 지주들의 숲: 목재의 밭
Ⅲ. 시민들의 숲: 민족의 자산
Ⅳ. 노동자들의 숲: 계급의식의 교사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