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함석헌과 무교회의 역사 철학

이용수 18

영문명
Seuk Hun Ham & The Historical Philosophy of Non-Church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저자명
양현혜
간행물 정보
『종교문화학보』제13권, 135~17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함석헌의 역사 철학의 사상적 계보와 그의 사상적 독창성을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즉 그의 역사 철학과 스승인 우치무라 간조(內村鑑三)의 지인론(地人論)』 그리고 무교회 2세대의 후지이 다케시(藤井武)의 『성서로 본 일본』과의 사상적 영향 관계를 검토하고 이들 사이의 연속성과 차이성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함석헌의 역사 철학은 일본 무교회의 역사 철학으로부터 일정한 영향을 받았다. 서구 중심적 역사 철학적 사유를 식민지 조선에 적용시켜 보려는 발상은 무엇보다도 우치무라에게서 받은 사상적 영감이라 하겠다. 또한 세계사의 전개를 인류 구제에 대한 신의 섭리의 점진적 나타남이라고 보고 성서적 입장에서 세계사를 보면서 역사적 사건 속의 ‘위대한 연관성’을 확인하려는 그의 기독교사관은 후지이에게서 받은 사상적 영감이라 하겠다. 그러나 이러한 사상적 연관성에도 불구하고, 식민지 조선인인 함석헌은 서구 중심주의에 근거한 약육강식의 게임룰에서 벗어나 약자의 자존을 인정하는 새로운 사상적 틀을 만들어 내지 않을 수 없었다. 함석헌은 ‘고난’을 통한 사랑의 완성이라는 전혀 다른 토대에 섬으로써 관계론적 존재론이라는 새로운 인식의 패러다임에 도달했다. 그리고 일본 무교회의 역사 철학과는 전혀 다른 인간 이해와 세계 이해에 도달했다. 그는 독립· 자존하는 자유가 아니라 사랑의 능력으로서의 자유, 타자에게 힘을 행사하는 것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자기를 내어주는 ‘고난’을 통한 인류사에의 참여, 제국주의적 민족주의가 아니라 세계시민주의적 지역주의, 서구 중심의 보편주의가 아니라 다원적인 복수보편주의, 경쟁이 아니라 공존과 상생의 인류 공동체라는 사유에 도달한 것이다.

영문 초록

Seok Hun Ham’s Analyzing Korean History by its Meaning is the only book that looks at the meaning and the origin of human history within Korean Christianity, and the historical philosophy of its process and purpose. But Seok Hun Ham’s book has its own distinct genealogy of thought. It is a historical philosophy development of the 2nd generation of Non-church thought and the Christian perspective of his teacher, Uchimura Ganzo. This paper would analyze the historic-philosophical development of Non-Church, by comparatively analyzing Seok Hun Ham’s writings with Uchimura’s Theory of Human and Geography and Huji-i Takeshi’s Analyzing Japan through the Bible, in order to evaluate his individuality within the historical philosophy. The historical philosophy of Japanese Non-Churchism is fundamentally based on Western modernism, and a search to find the Japanese identity and national establishment within the framework of imperialistic nationalism. But for Seok Hun Ham, a man from colonized Chosun, could not get out of this rule of game based on Westernism, as long as he stayed within the historic-philosophical framework that does not recognize the self-existence of the socially weak. The demand for epistemological change was achieved a shift from substantial existentialism to relational existentialism. The modern world values only the western experience of modernism and thus divides the world as the core and periphery. In this framework, individual beings have fought for survival in order to secure the core that ensures power to pushed others to the periphery, if not out of the game. This survival game demands that individuals threaten, rule, and exploit others in order to win. But Seok Hun Ham achieves an entirely new paradigm of a perfected love through ‘suffering’ upon a relational existentialism. This new paradigm dismantles the rules of substantial existentialism that supports modern Westernism. In a relational existentialism there is no core or periphery. ‘I’ exist through others, and others exist through oneself. There is no difference or distinction between oneself and others. What matter’s is not the centralism, but rather the relationship. It’s not a competition to take the core, but in a way that is non-threatening, it’s focused on creating a new relationship that benefits both sides. Such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is not established by pursuing power, but rather by emptying power. Through such epistemological shift of view, Seok Hun Ham reaches a very different understanding of human and the world, apart from the historical philosophy of Japanese Non-church. He reached the though of freedom not as independence but as the ability to love, participation in human history not by exerting power against others but by voluntary self-sacrifice in ‘suffering’, imperialistic nationalism rather than world civic regionalism, and universality not based on Westernism but based on pluralistic universality. Seok Hun Ham’s historical philosophy give a single answer to the questions of the post-modern thought and practic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우치무라와 『지인론(地人論)』
Ⅲ. 후지이 다케시(藤井武)의 『성서로 본 일본』
Ⅳ. 함석헌과 『성서로 본 조선사』
Ⅴ. 글을 마치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현혜. (2016).함석헌과 무교회의 역사 철학. 종교문화학보, (), 135-172

MLA

양현혜. "함석헌과 무교회의 역사 철학." 종교문화학보, (2016): 135-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