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 남성의 비만도에 따른 녹차와 음료류 소비 관련 특성에 대한 인식도
이용수 73
- 영문명
- Recognition of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Green Tea and Beverage Consumption in Adult Males by Body Mass Index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정윤정(Yun-Jung Jung) 정소형(So-Hyoung Jung) 조현주(Hyun-Ju Jo)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28권 제3호, 39~4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consumption of green tea and beverages by adult males according to their body mass index. The characteristics examined included preference, taste, image, and perception of health efficacy according to the type of beverage consumed. Further, the variations in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beverage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of the subjects wer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were assess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rated on a five-point Likert scale. Adult males who usually consume green tea frequently had the highest preference scores for green tea. They also had a high recognition score for the premise that green tea helps to maintain health and assists in weight management.
Participants who did not consume green tea had significantly lower preference, taste, and health efficacy scores than those who consumed green tea frequently (3∼4 times/week). The taste scores of green tea segreg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obes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rmal weight group than in the obese group. The health efficacy score of green tea and beverag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and green tea intake. In conclusion, the normal weight group had a greater preference for the taste of green tea than the obese group. In addition, the higher the score on the preference and taste of green tea and the higher the perception that green tea helped improve health, the higher the consumption of green tea.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육성 차 품종별 홍차의 유효성분과 품질 특성 비교
-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Allium monanthum in HT-29 Human Colorectal Adenocarcinoma Cells
- 성인 남성의 비만도에 따른 녹차와 음료류 소비 관련 특성에 대한 인식도
- 녹차 첨가에 따른 장어국의 성분 및 맛 특성 변화
- 어성초에서 동정한 화합물의 항산화 및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저해 활성
- 강황의 색상, 건조온도 및 추출조건에 따른 커큐민 함량 비교
- 보리 대용차 소재 개발을 위한 식이유황(MSM) 시용방법에 따른 생육 및 수량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매월당시사유록(梅月堂詩四遊錄)』의 차시(茶詩)에 나타난 차정신
-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The Illustrated London News)》에 나타난 빅토리아 시대 후기의 차 광고 연구
- 국내 자생 황녹색잎 차나무 유전자원의 생육 및 성분 특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