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Emergent Cultural Identities of Jaehan Miguk Hanin: From Marginalization to Global Nationalism

이용수 0

영문명
재한미국한인의 신생문화정체성: 주변화에서 글로벌국민주의로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저자명
박준규(Christian J. Park)
간행물 정보
『아태연구』제25권 제2호, 55~8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날로 글로벌화되고 있는 한국과 인종, 민족, 국민으로 구성된 초국적 위계질서를 헤쳐 나가야 하는 한국계 미국인의 귀환이주를 이해하기 위해 본 논문은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상상된 한민족집단을 일컫는 ‘재미교포’라는 용어 대신 ‘미국한인’이란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한국으로 이주한 한국계 미국인은 ‘재한미국한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초점은 한국계 미국인이 행하는 귀환이주의 다양한 유형과 ‘글로벌한인영웅’과 ‘실패한 이민자’로 이분화된 미국한인에 대한 인식에 대응하여 타협되고 재규정되는 신생문화정체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한인은 동질적이지 않다. 이들은 다양하고 지속적으로 변하는 소속감과 민족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한국 중심과 이민사회 중심을 오가는 미국한인 이민사회의 지위와 역사를 고려하면 ‘재한미국한인’은 단순히 미국인과 한국인이란 국민정체성 사이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재한미국한인의 문화정체성은 한국에서의 주변화 경험에 대응하여 미국한인의 초국적 정체성을 강화하거나 새로운 글로벌한국인이란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o make sense of globalizing South Korea and the return migration of Korean Americans as they navigate in the transnational hierarchies of race, ethnicity, and nation, this paper introduces a new word ‘miguk hanin’ as a replacement for ‘jaemi gyopo’ which refers to an imagined group of ethnic Koreans residing in the US. Therefore, Korean Americans who havemigrated to South Korea and residing in South Korea would be called ‘jaehan miguk hanin.’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different types of Korean American return migration and the emergent cultural identities negotiated and redefined by Korean Americans as they are perceived in dichotomized images of global Korean heroes and ‘failed’ immigrants. Korean Americans are not a homogeneous group, but consists of various people with different ethnic identities or senses of belonging that are constantly shifting. Accordingly, Korean Americans residing in South Korea are constructing emergent cultural identities of their own. Considering the ethnic status and history of Korean American diasporic community which has been oscillating between a Korea-centered to a Korean American focus, jaehan miguk hanin faced with differentiation do not redefine their identity in simple nationalist terms as Americans vis-à-vis the Koreans. Rather, the process of identity negotiation can be understood in two as a strengthening of a transnational identity of ‘Korean Americans’ as a response to the marginalization in South Korea and the formation of a new ethnic identity of global Koreans.

목차

I. Introduction
II. Dichotomized Perception of Jaehan Miguk Hanin
III. Return Migration of Miguk Hanin
IV. Cultural Identities of Jaehan Miguk Hanin
V.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준규(Christian J. Park) . (2018).Emergent Cultural Identities of Jaehan Miguk Hanin: From Marginalization to Global Nationalism. 아태연구, 25 (2), 55-84

MLA

박준규(Christian J. Park) . "Emergent Cultural Identities of Jaehan Miguk Hanin: From Marginalization to Global Nationalism." 아태연구, 25.2(2018): 55-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