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류와 혐한의 문화갈등과 충돌의 경계넘기를 위한 제안

이용수 13

영문명
A Proposal for the Crossing-Border of Cultural Conflicts and Collisions between Hallyu and Anti-Hallyu: Researching of Hybrid Culture Governance System in the North-East Asia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저자명
김종법(Jong-Bub KIM)
간행물 정보
『아태연구』제22권 제2호, 159~18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한류의 확산과정과 새로운 전환기를 맞고 있는 3.0의 신한류 시대를 맞아, 특히 동북아시아지역에서 혐한이라는 문화갈등과 충돌이 발생하는 원인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넘어서기 위한 대안으로 ‘혼종 문화거버넌스’라는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하고 있다. 먼저 서론에서는 한류의 심화와 확산이 갖는 역설적인 현상으로서 혐한 발생의 대안 제시로서 동북아시아에서의 혼종문화거버넌스 제시의 필요성과 의미를 설명하고자 한다. 둘째 장에서는 동북아시아 혐한 현상을 중국과 일본 등의 주요 국가에서 발생하게 된 양상과 원인 등을 분석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한류의 심화가 갖는 역설적이고 부정적인 효과와 혐한 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대안도 함께 제시하게 될 것이다. 셋째 장에서는 동북아시아지역에서의 혼종문화거버넌스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혼종문화거버넌스’ 개념과 구성 요소들을 실용적인 수준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넷째 장에서는 동북아시아지역의 특수성으로 인해 제시하고 있는 ‘혼종문화거버넌스’ 체제의 안정화를 위한 정책과 방법에 대한 제언으로 결론을 갈음할 것이다. 이를 통해 한류의 확산이 갖는 긍정적인 측면이 혐한이라는 부정적인 현상을 뛰어넘어 문화공존의 가능성을 확대할 수 있는 시도로서 ‘문화거버넌스’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거버넌스라는 개념과 체제의 정의조차 그리 쉬운 작업이 아니겠지만, 문화공존을 수용하고 그러한 문화가 단일하거나 지나친 국가주의를 배제한 타협과 합의의 혼종문화를 지향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과 체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이를 위해 국가가 아닌 로컬(local) 중심의 새로운 혼종문화 공동체의 실현을 위한 이론적이고 체제적인 제안을 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multi causes of cultural conflicts and collisions between Hallyu and Anti-Hallyu in the North-East Asia. Also it gives a proposal for the crossing-border of cultural conflicts and collisions between Hallyu and Anti-Hallyu and a researching of hybrid culture governance system in the North-East Asia. In especial this paper proposes some renewal concepts and terminologies as like K-culture, C-Culture, J-Culture and hybrid culture governance system, et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 beginning of new research for a overcoming cultural conflicts and collisions between Hallyu and Anti-Hallyu in the North-East Asia and a groping for a solution of peace-coexistence governance system in local area. In addition to this proposal, K-Culture will be a renewal cultural promotion for overspreading to the another world, for example in North America, South America, Europe, Africa and Australia and so on.

목차

Ⅰ. 서론: 한류의 확산과 혐한(嫌韓)의 심화
Ⅱ. 혐한류와 신한류의 공존과 전망
Ⅲ. 동북아시아에서의 ‘혼종문화거버넌스’와 그 실현 가능성
Ⅳ. 혼종문화거버넌스 체제 구축을 위한 방법론적인 제안과 가능성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종법(Jong-Bub KIM) . (2015).한류와 혐한의 문화갈등과 충돌의 경계넘기를 위한 제안. 아태연구, 22 (2), 159-186

MLA

김종법(Jong-Bub KIM) . "한류와 혐한의 문화갈등과 충돌의 경계넘기를 위한 제안." 아태연구, 22.2(2015): 159-1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