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연결망과 초국가적 정체성

이용수 24

영문명
Social Network and Transnational Identity of Marriage Migrant Women: a Focus on the Process of Adapting to Life in Korea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저자명
설진배(Jin-Bae Sul) 김소희(So-Hee Kim) 송은희(Eun-Hee Song)
간행물 정보
『아태연구』제20권 제3호, 229~26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사회 담론의 중심에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연결망과 초국가적 정체성 사이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심층면접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생활에서의 사회적 연결망 및 초국가적 정체성 형성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이주에는 사회적 연결망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이들은 사회연결망을 통해서 한국으로 이주를 하였으며, 이주 후에도 사회연결망의 확장을 이어나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결혼이주여성은 한국인으로서의 소속감, 자존감, 심리적인 안정감 등을 획득하게 된다. 둘째, 하지만 이들이 추구하는 한국인 되기는 일방적인 동화가 아니라 시민으로서의 완전한 권리를 갖는 것이며, 여기에는 자녀에 대한 모성도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셋째, 사회연결망의 구축과 유지에는 한국 내의 연결망 뿐 만이 아니라 모국과의 연결망 역시 포함이 되는데, 이러한 초국가적 행위자로서의 실천에는 한국에서의 적응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곧 초국가주의와 적응 및 사회통합의 개념이 상호배타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작용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network and transnational identity of marriage migrant women. To this end, this study uses in-depth interview surveys to analyze the process in which the social network and transnational identity of marriage migrant women are formed in Kore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network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migration of marriage migrant women. These women migrated to Korea through a social network and continued to expand their network after coming to Korea. Through this process, marriage migrant women are able to acquire a sense of belonging in Korea and enhance their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stability. Second, marriage migrant women do not want unilateral assimilation: they wish to gain full rights as a Korean citizen. The motherly love of these women for their children plays a key role in this matter. Third, because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social networks for marriage migrant women include networks within Korea and with their mother country, the practice of these women as transnational actors is largely affected by their adaptation to life in Korea. This implies that the concepts of transnationalism, adaptation and social integration are not in a mutually exclusive relationship, but are rather open to inter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토대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사회적 연결망의 역할과 초국가적 정체성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설진배(Jin-Bae Sul),김소희(So-Hee Kim),송은희(Eun-Hee Song) . (2013).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연결망과 초국가적 정체성. 아태연구, 20 (3), 229-260

MLA

설진배(Jin-Bae Sul),김소희(So-Hee Kim),송은희(Eun-Hee Song)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연결망과 초국가적 정체성." 아태연구, 20.3(2013): 229-2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