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방선거에서 여성의 정치대표성

이용수 3

영문명
Women’s Political Representativeness in the Local Electoral System in Japan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저자명
정미애(Mi-Ae Jung)
간행물 정보
『아태연구』제20권 제3호, 101~13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2014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기초의회 정당공천제 폐지 논의가 본격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당공천제와 여성할당제에 대한 대안은 무엇인지, 지방의회의 대표성과 비례성을 높이기 위한 보다 나은 선거제도는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일본의 사례를 살펴보고 있다. 일본의 경우, 기초의회의원의 무소속 비율이 매우 높아 기초의회 정당공천제 폐지가 논의되고 있는 한국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클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일본은 여성의 정치대표성이 낮은 국가이지만 지방선거에서 여성할당제와 비례대표제가 시행되고 있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여성의원의 비율은 여성할당제와 비례대표 교호순번제를 강제하고 있는 우리나라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즉 일본의 여성의원은 전원 지역구에서의 승리를 통해 선출직으로 의회에 진출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고에서는 첫째, 일본 정치에서 여성의 대표성을 알아보기 위해 여성의원 및 여성 자치단체장의 현황을 살펴본다. 둘째, 제도적 측면으로 일본의 선거제도를 개관하고, 정당 차원에서 여성의 정치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살펴본다. 셋째, 여성의 정치참여를 위한 여성단체의 역할을 살펴본다. 특히 한국에도 잘 알려진 지역정당인 이른바 ‘네트’에 의한 대리인운동의 성과와 한계를 짚어본다. 이상의 검토를 통해 결론에서는 일본의 사례에 비추어 한국의 지방의회에서 여성의 정치대표성을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과 함의로써 지방선거에서의 중대선구제의 도입과 지역정당의 합법화를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Women’s representation in Japan’s local politics, though certainly not very high, is rather striking when compared with the situation of Korea, where a zipper system and a set quota ensure a certain share of female politicians. Japan, even without such artificial schemes, manages to maintain a more or less same level of political representativeness for women. What accounts for such relative success? In answering that question, this paper (1) profiles female lawmakers and heads of municipal governments of Japan, (2) probes the Japanese electoral system and party policies for promoting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and (3) assesses the role of women’s groups, especially the Seikatsusha Network, which has been grabbing attention even of Korean observers. In light of the recent Japanese experience, this paper concludes, Korea may need bold initiatives in preparation for the upcoming local elections in 2014. Instead of the controversial party nomination and quota system, a multi-seat constituency and a local party system may be just what Korea needs for raising women’s representation in local assemblie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일본 여성의 정치대표성
Ⅲ. 일본의 선거제도
Ⅳ.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를 위한 노력
Ⅴ. 지역정당을 통한 여성의 정치참여
Ⅵ. 결론: 한국에의 함의와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미애(Mi-Ae Jung) . (2013).지방선거에서 여성의 정치대표성. 아태연구, 20 (3), 101-130

MLA

정미애(Mi-Ae Jung) . "지방선거에서 여성의 정치대표성." 아태연구, 20.3(2013): 101-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