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박근혜 정부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 대한 시론적 고찰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f the "Trust Building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Proposed by the Park Geun-hye Government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저자명
정성장(Seong-Chang Cheong)
간행물 정보
『아태연구』제20권 제3호, 159~193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구상을 분석한 결과, 박근혜 정부는 북한과의 대화와 협력 그리고 국제공조를 통해 남북한 관계 개선 및 북한의 핵포기를 이끌어내려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접근은 분명 북한이 먼저 핵을 포기해야 남북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다는 이명박 정부의 일방주의적인 ‘비핵․개방․3000’ 구상보다 더욱 상호주의적이고 현실적이며 유연한 것이다. 하지만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는 남북한 관계에서 ‘상식과 국제규범’을 강조하고 있어 대북 자신감을 바탕으로 북한을 포용하면서 남북관계를 발전시키고자 했던 김대중․노무현 정부의 대북 정책보다는 덜 관용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남북한 간에 ‘신뢰’가 쌓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당국이 서로 자주 만나 대화를 나누고 합의한 바를 성실히 이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박근혜 정부는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 이산가족 상봉 실현 그리고 금강산관광 재개 이후 제2차 총리회담을 개최해 남북 관계를 보다 협력적인 관계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총리회담에서는 그동안의 변화된 상황을 반영하여 10.4선언의 이행 방안을 재검토하고, 과거에 합의한 것처럼 총리회담 산하에 남북경제협력공동위원회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총리회담을 통해 남북한 당국간 협력이 활성화되면, 이후 제3차 정상회담을 개최해 박근혜 정부 잔여 임기 동안의 남북한 관계 발전계획을 포함한 ‘신기본합의서’ 또는 6․15 및 10․4선언을 포괄하는 ‘신정상선언’ 채택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남북한 당국간 대화가 발전해 한반도에 정치적․군사적 신뢰가 구축되면 북한의 비핵화 실현 및 인권개선에도 더욱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An analysis of the plot for the "trust building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as proposed by the new South Korean government led by President Park Geun-hye, has indicated that her government is attempting to improve inter-Korean relations and attain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through bilateral talks between the two Koreas, plus international cooperation. This approach could be more reciprocal and practical than the idea put forward by the Lee Myung-bak government, which calls for the North's denuclearization and opening-up in exchange for South Korea's role in helping the North increase its per capita income to US$3,000, an idea that made the North's abandonment of its nuclear capability and nuclear weapons development program a prerequisite to the development of closer inter-Korean ties. Undoubtedly, the process for trust 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is a more flexible idea than that for "the North's denuclearization, opening-up and $3,000 for the North's per capita income." But it might be less generous than the North Korea policies pursued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led by President Kim Dae-jung and President Roh Moo-hyun, which attempted to engage the North, based on their self-confidence, and develop a closer inter-Korean relationship, because it follows common sense and international norms in rel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The government authorities of the two Koreas need to meet and converse frequently, and abide by their agreements in earnest, among other things, to promote mutual trust. The Park Geun-hye government needs to change its posture toward the North in a way that promotes cooperation with the North in another round of talks between the prime ministers of the two Koreas whose meeting may follow the attainment of normal operations at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the resumption of meetings of members of the same Korean families who are divided by the border. It is desirable for the premier-level inter-Korean talks, if any, to review the ways for implementing the Oct. 4, 2007 declaration made jointly by the two Koreas, in consideration of a change in their environments, and institute an inter-Korean joint commission for economic cooperation. In case the premier-level inter-Korean talks succeed in activating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authorities of the two Koreas, the two Koreas need to hold their third summit and make an attempt to adopt a new basic agreement between them, or a new declaration of their leaders, which covers all issues mentioned in the declarations by their leaders on June 15, 2000 and Oct. 4, 2007. There might be environments in North Korea conducive to its denuclearization and improvement of its human rights situation, if and when talks between government authorities of the two Koreas succeed in building their mutual trust ― even in the political, military arenas.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박근혜 대통령의 2002년 방북과 ‘신뢰’ 강조
Ⅲ.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의의와 추진 방향 평가
Ⅳ.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추진 과제 평가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성장(Seong-Chang Cheong) . (2013).박근혜 정부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 대한 시론적 고찰. 아태연구, 20 (3), 159-193

MLA

정성장(Seong-Chang Cheong) . "박근혜 정부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 대한 시론적 고찰." 아태연구, 20.3(2013): 159-1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