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순자(荀子)』에서 예(禮)와 평등

이용수 15

영문명
Li and Equality with a Special Focus on Xunzi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저자명
고은강(Eun-Kang Koh)
간행물 정보
『아태연구』제19권 제3호, 113~13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순자』에서 예(禮) 개념의 핵심이 ‘차등의 질서’라는 기존 논의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한다. 예는 차등을 합리화하기 때문에, 계급, 성, 연령 등에 따른 불평등을 정당화하는 결과를 가져왔고, 이러한 시각에서 본다면, 예 개념은 현대 민주주의 가치와 양립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순자』에서 인간은 욕망을 가진 채, 모여 살지 않으면 안 되는 존재다. 다툼의 불씨가 항존한다. 다툼이 생겨 모여 살 수 없게 되면 먹고 입는 기본적인 욕망도 충족(養)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나눔[分]이 필요하다. 인간을 나누고 사물을 나눈다. 이러한 나눔의 최종 목적은 이익의 실현이다. 다툼에 시간과 노력을 들이면 욕망을 충족시킬 자원을 생산하는 데 투하되는 시간과 노동력이 줄어든다. 따라서 결과적으로는 그 누구에게도 이익이 되지 않는다. 나눔은 다툼이 야기하는 혼란과 혼란에 의해 파생되는 궁핍을 막는 인위적인 노력이다. 예가 실현된 상태로서 ‘각득기소(各得其所)’는 바로 ‘나눔[分]’이 유지되는 상태다. 나눔의 결과에 따라 개인 간, 집단 간의 차등이 생기고 차등이 지배-종속으로 이어진다고 해도, 이러한 사회 질서는 적어도 예의 목적은 아니다. 오히려 각각의 행위자에게 떳떳함(宜)을 주기 위한 나눔은 개인 간 사적(私的) 지배에 따른 지배-종속 관계의 형성을 차단한다. 『순자』에서 ‘각각의 행위자에게 떳떳함(宜)을 주기 위한 나눔으로서의 예’가 실현된 상태를 떠올려 보면, 비지배(non-domination)가 실현된 상태다. 페팃에 의하면 ‘비지배’란 “타인의 의지에 종속됨이 없는 상태”라고 정의된다. 각득기소(各得其所)의 상태에서 개별 행위자는 서로 분리되고 구별되어 자신의 떳떳함을 유지함으로써 “타인의 의지에 종속됨이 없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비지배의 상태는 권세(權勢)에 의해 위협받는다. 예의 질서가 유지되는 한, 계급의 차이, 성별의 차이, 연령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행위자는 비지배의 자유를 보장받는다. 비지배의 자유 보장이라는 관점에서 예의 질서 속의 개인은 평등하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its origins in the doubts over existing discussions regarding the core concept of rites (禮, li) being based on the ‘difference order’ in the Xunzi. Because rites rationalized differences, it resulted in justifying inequality based on social status, gender and age. Viewed from this standpoint, the conclusion can be reached that the concept of rites cannot coexist with modern democratic values. While the core concept of rites that this study is focused on is the ‘non-dominant order’, the ‘difference order’ is included as a by-product. Humans live together. While they live together, they nevertheless pursue individual desires. Conflicts emerge during the process of pursuing individual desires while living together. Divisions (分, fen) are required to prevent such conflicts. First, individuals should be divided into groups, with the appropriate number (數, shu) allocated to each group. This is called a divided fraction (分數, fenshu), and can be regarded as an essential point needed to actualize rites. Rites are expressed based on such divisions and numbers. Differences emerge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based on these divided fractions. However, these differences do not mean inequality. This study does not perceive that the core concept of rites lies in the differences which can emerge in accordance with the divided fraction, but that the core concept of rites lies in the division. The separation of gathered individuals into divisions and number creates ethical problems as to whether they will follow the given divided fraction or resist against it. The struggles and mutual intervention over dominance and subordination that began with the unverified belief that an individual desires the same object as other individuals should not be included in the primary ethical problem. It is difficult to regard a specifical individual or group separated based on the divided fraction as occupying a dominant position over other individuals or groups. The purpose of rites is not to establish a dominant-subordination order that reflects the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On the contrary, it has more to do with the actualization of equality as non-domination between the individuals and groups.

목차

Ⅰ. 문제 제기:『순자』에서 예(禮)와 불평등
Ⅱ. 『순자』에서 예(禮)의 실천
Ⅲ. 『순자』에서 나눔[分]의 재해석
Ⅵ. 결론:『순자』에서 예(禮)와 평등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은강(Eun-Kang Koh) . (2012).『순자(荀子)』에서 예(禮)와 평등. 아태연구, 19 (3), 113-137

MLA

고은강(Eun-Kang Koh) . "『순자(荀子)』에서 예(禮)와 평등." 아태연구, 19.3(2012): 113-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