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환율 변동성 요인 분석 및 환율 변동성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79

영문명
An Analysis Factors in Exchange Rate Volatility and Effects of Exchange Rate Volatility on the Real Economy
발행기관
한국동북아경제학회
저자명
최남진(Nam-Jin Choi)
간행물 정보
『동북아경제연구』東北亞經濟硏究 第34卷 第2號, 71~9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소규모 개방경제를 표방하는 국내 원/달러 환율 변동성에 영향을 줄수 있는 요인을 대표적인 기축 통화국인 미국을 중심으로 실증 분석하였으며 이와더불어 환율 변동성이 국내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 분석하였다. 우선 원/달러 환율 변동성을 확인하기 위해 EGARCH 모형을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 원/달러환율 변동성에 변동성 집중 현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회귀분석을 통한환율 변동성 요인을 추정한 결과 미국의 통화량 및 한-미 금리 스프레드 변수가 유의한 양의 계수를 나타내며 해당 변수들의 상승이 원/달러 환율 변동성을 확대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는 자국 경기 회복을 위해 실시한 미국의 확장적 통화정책이 환율의 직접 경로와 포트폴리오 경로 등을 통해 국내 원/달러 환율 변동성을 상승시킴을설명한다. 반면 미국 성장률은 유의한 음의 계수를 나타내며 해당 변수 상승이 원/ 달러 환율 변동성을 축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환율 변동성이 국내 실물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VAR 모형을 추정한 결과 환율 변동성 상승 충격은 한-미 간 교역을 감소시키고 국내 성장률 또한 제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분석 결과를 통해 향후 미국 등 주요 기축 통화국들의 예상치 못한 통화정책(긴축적 통화정책)이 원/달러 환율 변동성을 확대시킬 수 있으며 이는 결국 국내 실물경제를 제약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예측해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factors that can affect the volatility of the domestic won/dollar exchange rate, which advocates a small open economy, focusing on the United States, a representative key currency country. In addition, the effect of exchange rate volatility on the domestic real economy was analyzed. First, the EGARCH model is estimated in order to extract won/dollar exchange rate volatility.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volatility clustering phenomenon i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volatility. Next, factors of exchange rate volatility are estimated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The estimated results indicate that variables of the US currency amount and Korea-US interest rate spread show significant amounts of coefficients, and each variable increase causes the increase of won/dollar exchange rate volatility. This explains that the expansionary monetary policy of the US implemented for domestic business recovery raises won/dollar exchange rate volatility through direct currency channel and portfolio channel. On the other hand, the growth rate of the US shows significant negative coefficient, and the increase of relevant variables leads to the reduction of won/dollar exchange rate volatility. In the results of estimating the SVAR model in order to check the effects of exchange rate volatility on real economy of Korea, the shock of exchange rate volatility increase reduces trades between Korea and the US while limiting the growth rate of Korea. Through the above analysis results, it is expected that unexpected monetary policy(austerity monetary policy) of major key currency countries including the US might expand the won/dollar exchange rate volatility, which could function as an element to restrict domestic real econom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 모형
Ⅳ. 실증 분석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남진(Nam-Jin Choi). (2022).환율 변동성 요인 분석 및 환율 변동성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경제연구, 34 (2), 71-99

MLA

최남진(Nam-Jin Choi). "환율 변동성 요인 분석 및 환율 변동성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경제연구, 34.2(2022): 71-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