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唐宋音에 걸친 江·宕攝韻의 字音形에 대하여

이용수 1

영문명
The Reflections of the Jiang·Tang Group (江·宕) in Sino-Japanese: The Distinctions between So’on and To’on Readings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저자명
오채현(Oh, Chaehyun) 이경철(Lee, Kyongchul)
간행물 정보
『일본연구』第38輯, 181~20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唐宋音에 걸친 江·宕攝韻의 반영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宋音에서 開口2等 江韻은 -au형으로, 覺韻은 -a형으로 출현한다. 또한 唐音에서 江韻은 주로 -jaN형으로 나타나지만 脣音系는 -aN형으로, 舌齒音系는 주로 -juaN형으로 출현하며, 覺韻도 이에 병행하여 주로 -ja형으로 나타나지만 脣音系는 -a형으로, 舌齒音系는 주로 -jua형으로 출현한다. 이를 통해, 먼저 宋音의 母胎音에서 이미 入聲이 소실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宋音의 -a형에서 唐音의 -ja형으로의 변화를 통해, 宋代까지 秦音에서 이루어진 1·2等韻의 합류가 지속되고 있지만, 1等과 2等을 구별하는 방언이 남아 있었고, 1·2等韻이 합류한 언어그룹에서 그 2等韻이 ja로 대체된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唐音에서 舌齒音이 -juaN형/-jua형으로 출현하는 것은 開口2等 江·覺韻이 唐音의 母胎音에서 合口로 변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2)開口1等 唐韻의 陽聲韻은 宋音에서는 -au형으로, 唐音에서는 주로 -aN형으로 출현하며 齒音系는 -uaN형으로 나타난다. [ツアン]을 チ·ツ의 破擦音化로 인해 [tuaŋ]으로 인식한 표기가 아니라 [ʦaŋ]으로 인식한 표기로 본다면 이 역시 -aN형으로 귀결된다. 入聲의 鐸韻은 宋音·唐音 모두 喉內入聲 k가 탈락한 -a형으로 나타나지만 唐音에서는 -o형이 혼재하고 있다. 이는 鐸韻 ɑk에서 入聲 k가 탈락한 것이 있지만 母音 u로 변해 ɑu로 변하고 이것이 o로 변한 것까지 존재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3)合口1等 唐韻은 宋音에서는 -wau형으로, 唐音에서는 -waN형으로 출현하며, 그 入聲인 鐸韻은 宋音·唐音 모두 -wa형으로 출현한다. 이처럼 宋音·唐音 모두 그 入聲韻도 主母音이 ɑ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現代音의 uo는 中古音 wɑk에서 入聲 k가 탈락한 近世音 wɑ에서 合口 w와의 동화로 인해 主母音 ɑ가 高位化하여 uo로 변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4) 宋音에서 開口3等 陽韻은 -jau형으로 출현하며, 藥韻은 入聲이 탈락하고 -ja형으로 출현한다. 唐音에서도 陽韻은 -jaN형으로, 藥韻은 -ja형으로 출현한다. 5) 宋音에서 合口3等 陽韻은 牙喉音이 주로 -jau형으로, 脣音字가 -au형으로 출현하는데, 入聲인 藥韻은 牙喉音이 -wa형으로, 脣音字가 -a형으로 출현한다. 唐音에서도 陽韻은 牙喉音은 주로 -jaN형으로, 脣音字는 -waN형·-aN형으로 출현하며, 藥韻은 牙喉音이 -ja형과 -wa형으로, 脣音字가 -wa형으로 출현한다. 宋音의 -jau형과 唐音의 -jaN형은 원음에서 合口性이 소멸된 것을 반영한 것이 아니라 일본어 내의 合拗音의 소멸로 인한 표기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nalyzes the work of the Jiang·Tang Group (江·宕) in regard to Sino-Japanese So’on and To’on reading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1) The Grade II open rhyme Jiang (江) appears as an -au type and the rhyme Gak (覺) as an -a type in So’on. The rhyme Jiang (江) appears mainly as a -jaN type, whereas the labial system appears as an -aN type, the apico-dental appears as a -juaN type, and the rhyme Gak (覺) appears in parallel as a -ja type, while the labial appears as an -a type, and the apico-dental as a -jua type in To’on. 2) The Grade Ⅰ open rhyme Dang (唐) appears as an -au type in So’on and an -aN type and the dental as a -uaN type in To’on. If the [ツアン] notation is recognized as [tsaŋ] rather than as [tuaŋ] due to the affrication of チ·ツ, this also results in an -aN type. The rhyme Tak (鐸) of the entering appears as an -a type in which k is eliminated in both So’on and To’on, but the -o type is mixed in To’on.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some entries in which /k/ has been eliminated from the rhyme Tak (鐸), but there are also some entries that have been changed to the vowels /u/ or /au/, or even to /o/. 3) The Grade Ⅰ rounded rhyme Dang (唐) appears as a -wau type in So’on and a -waN type in To’on, and Tak (鐸) appears as a -wa type in both So’on and To’on. 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ending /k/ of both So’on and To’on is also the main vowel /ɑ/. In addition, the /uo/ of modern Chinese is an assimilation of the rounded /w/ in the Recent Chinese /wɑ/, where the ending /k/ in Ancient Chinese /wɑk/ is omitted. Because of that, the main vowel /ɑ/ has been highly ranked and should be considered as /uo/. 4) The Grade Ⅲ open rhyme Yang (陽) appears as a -jau type, and the rhyme Yak (藥) appears as a -ja type in which the ending /k/ is eliminated in So’on. The rhyme Yang (陽) appears as a -jaN type and the rhyme Yak (藥) as a -ja type in To’on. 5) The Grade Ⅲ rounded rhyme Yang (陽) appears mainly as a -jau and an -au type, and the rhyme Yak (藥) appears as a -wa and an -a type in So’on. The rhyme Yang (陽) appears mainly as a -jaN, -waN and -aN type, the rhyme Yak (藥) appears as a -ja and -wa type, and the labial appears as a -wa type in To’on. The -jau type of So’on and the -jaN type of To’on do not reflect the disappearance of /w/ in the original sound, but can be seen as accurate notations due to the disappearance of the sound /w/ in Japanese.

목차

Ⅰ. 머리말
Ⅱ. 본론
Ⅲ. 마치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채현(Oh, Chaehyun),이경철(Lee, Kyongchul). (2022).唐宋音에 걸친 江·宕攝韻의 字音形에 대하여. 일본연구, (), 181-205

MLA

오채현(Oh, Chaehyun),이경철(Lee, Kyongchul). "唐宋音에 걸친 江·宕攝韻의 字音形에 대하여." 일본연구, (2022): 181-2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