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재조일본인 사회의 화류병 인식에 관한 일고찰

이용수 32

영문명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Venereal Disease in Japanese Society in Joseon: Focused on Coverage in 『Joseon Gongron』 in the 1910s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저자명
송혜경(Hyekyung Song)
간행물 정보
『일본연구』第38輯, 71~10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화류병’은 질환의 발병지가 화류계에 있다는 당시의 인식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책도 화류계 여성에 대한 관리·통제에 집중되어 있었다. 식민지 조선에서는 화류병 방지를 위한 실질적인 조치로서 1916년 전국적으로 공창제가 실시되는 이를 계기로 해서 1910년대 『조선공론』에는 일반 필진들의 화류병에 관한 의견이 다수 개진된다. 계층, 직업, 위치에 따라 찬반을 달리하는 이들 의견은 주로 화류병 검사를 누구를 대상으로, 어떠한 범위에서 실행할 것인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또한 여기에는 식민지적 특수성이 잘 드러나 있다. 즉 식민지 본국 일본과 다른 창기와 예기의 위상, 성 관리의 주체가 어디에 있는가, 경제적 이해득실에 따른 예기에 대한 화류병 검사 반대 등의 식민지적 상황을 보여준다. 한편 『조선공론』에는 전문가의 의학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화류병 기사도 연재되었다. 일반 독자가 화류병 검사 현장을 직접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거둘 목적으로 쓰인 이 기사는 화류병 발병 증상을 자극적이면서 생생하게 묘사하며, 가정파괴의 원인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화류계에서의 화류병은 거의 언급하지 않고 가정에서 혹은 생활 속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로써 다루고 있다. 화류병이 화류 세계를 넘어 일반인에게 미칠 수 있는 병독으로 경계하여 지도·계몽되는 것이다. 1910년대 『조선공론』을 보는 한, 가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화류병의 폐해는 이러한 전문가의 한정된 공간에서만 언급되고 있다. 화류계 여성과 일반여성을 배타적인 범주로 구분하는 사고 속에서 일본인 주부의 역할 공간인 가정은 식민지지배를 공고히 하고 일본인사회의 안정을 위해 이상적인 공간으로 자리매김 되어야 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In colonial Joseon, as a practical measure to prevent venereal disease, the national communion system was implemented in 1916. Against this backdrop, in Joseon Gongron in the 1910s public commentators expressed their opinions on venereal disease. These opinions, which differed according to the class, occupation, and location of the writers, were mainly focused on the extent to which inspections of homes for evidence of pyrotechnics such as fireworks would be carried out, and who would be tasked to do them. In addition, the specificity of the colonial milieu was clearly revealed in relation to the status of prostitution, which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imperial center, Japan, where the policing of sexuality and opposition to the inspection of homes in relation to brisket disease were influenced by consideration of their economic benefits or downsides. Meanwhile, in Joseon Gongron, medical experts also published articles on venereal disease. They also explained to the general public the potential harmful effects, including the destruction of homes, of pyrotechnics in a stimulating and vivid way. A range of magazines guided and educated the general public about what could happen in this respect. However, in Joseon Gongron, the harmful effects of venereal disease, which could destroy families, were dealt with only to a limited extent by the experts.Finally, in the dichotomous thinking that divided women with schizophrenia from ordinary women, the former were extensively discussed as potential patients. On the other hand, the problem of saffron disease in Japanese households was not sufficiently covered by the experts, and on the surface, such households were not the main topic of discussion. This is because of the imperative to position the home as an ideal space, which was necessary in order to consolidate colonial rule and to stabilize and strengthen the Japanese presence in Joseon.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일본인 여성의 한반도로의 이동과 화류병
Ⅲ. 재조일본인 사회의 화류병 인식과 대책
Ⅳ. 일본어잡지에서의 가정담론 전개와 화류병
Ⅴ.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혜경(Hyekyung Song). (2022).재조일본인 사회의 화류병 인식에 관한 일고찰. 일본연구, (), 71-100

MLA

송혜경(Hyekyung Song). "재조일본인 사회의 화류병 인식에 관한 일고찰." 일본연구, (2022): 71-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