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마당이 북한 계급제도와 체제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24
- 영문명
- Influence of Jangmadang on the class system of North Korea and North Korean regime
- 발행기관
- 한국통일전략학회
- 저자명
- 이용희(Lee, Yong Hee)
- 간행물 정보
- 『통일전략』18권 4호, 105~150쪽, 전체 4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30
8,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45년 8월 15일 해방 이후 북한 민간시장의 생성과 변천과정을 정리하였다. 특히 90년대 중반 북한에서 배급제도가 중단되면서 주민들 사이에서 활성화 되었던 장마당에 대해 연구 분석하였다.
동시에 북한의 계급과 성분제도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북한은 전 주민을 3대 계층과 56부류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있다. 출신성분과 가족배경 등을 중심으로 계층과 부류를 결정하고 각 계층에 따른 차별대우가 심각하다. 본 논문은 장마당이 활성화 되면서 북한의 계급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더 나아가서 장마당이 북한 체제에 미치는 영향력과 전망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ummarizes the process of creation and evolution of the private market in Nor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on Aug. 15, 1945. In particula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Jangmadang, a local marketplace which was activated as the distribution system by the North Korean regime collapsed since the mid 90s. At the same time, this paper studied the hierarchical system of North Korea. North Korea classifies all residents into three classes and 56 categories.
Discrimination based on each class is seriou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impact of the Jangmadang on the class system of North Korea, and further examined the influence and prospects of Jangmadang on the North Korean regime.
목차
키워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