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족보 역사문헌 유적의 융합으로 보는 마한제국(馬韓諸國)의 위치 재비정

이용수 52

영문명
Review on the Comparison on Locating Mahan Countries on the Basis of Genealogy, Historical Literature and Historic Sites
발행기관
바른역사학술원
저자명
박동(Park, Tong)
간행물 정보
『역사와 융합』제6호, 149~221쪽, 전체 73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11,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삼국지』 한전에 제시된 마한 55국에 대한 새로운 위치 비정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삼국지』 한전의 첫머리에 한(韓)의 면적이 대방 이남의 방 4 천여 리(方可四千里)에 달한다는 기록에 충실한 비정을 시도하였다. 기존 연구중 가장 많이 인용되는 천관우(1979a)는 『삼국지』의 마한제국 나열이 황해도나경기도 북부에서 남부로 내려온다는 가정에 입각해 비어 있는 부분에 채워 넣는식으로 비정을 했다. 이 경우 한의 면적은 2천여 리도 안된다. 더구나 『삼국지』 왜인전에도 대방군에서 구야한국까지의 거리가 7천여리에 달한다고 했다. 따라서 『삼국지』나 『후한서』의 기록에 의거하면 대방은 황해도에 존재할 수가 없다. 각종 사서의 기록과 씨족의 군망 등에 입각해 비정한 결과 『삼국지』 마한의 국명기록은 북→남이 아니라 특별한 순서 없이 무작위로 작성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필자의 비정을 천관우(1979a)와 비교한 결과 55개국 중 21개만이 일치하고, 나머지 34개국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백도백과』와 『구글지도』 등을 활용하여 마한 55개국의 위치를 검색한 결과 55개국 중 절반 이상이 씨족명인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 대부분은 중국 산동성과 하북성 일대에 위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월지국은 산동반도에서 선주하던 우이족(嵎夷族)으로 파악되었으며, 아울러 래이족을 나타내는 모(牟)가 아주 빈번히 등장하고 있다. 또한 소석색국(小石索國)과 대석색국(大石索國)은 주나라에 대항한 은민육족(殷民六族)의 거대 세력이었다. 이들 씨족은 고조선의 후손이고, 중원에서 소위 동이족으로 불리운 씨족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월지국은 목지국으로 아무 근거없이 수정되어 엉뚱한 곳에 자의적으로비정되었고, 한성 유역의 십제와 3세기초 북경 남쪽의 대방고지에서 건국한 마한 소속의 백제(伯濟)를 혼동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마한은 래이마한으로서 산동성 일대의 고조선 세력인 우이족, 즉 월지 세력이 주축이 되어 한반도와 중원에 걸쳐 건국한 나라이고, 월지 세력은 한반도 서남부의 영산강 일대에 도읍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대방군과 낙랑군이 황해도와 평양 일대에 위치하고 있었다는 가설은 이제 더 이상 성립 불가능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ppraise the new location of the 55 Mahan countries presented in 『Three Kingdoms(三國志)』. Especially, at the beginning of 『Three Kingdoms』, the area of Han(韓) reached 4,000 LI(里) from east-west and northsouth from the south of Daebang, and tried to keep up with the record. Chun Kwan-woo(1979a), the most cited of previous studies, was unsatisfactory by filling the empty part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list of the Mahan Empire in 『Three Kingdoms』 comes down from Hwanghae Province or northern Gyeonggi Province to the south. In this case, the area of the land of Han is less than 2,000 LI. Furthermore, 『Three Kingdoms』 said that the distance from Daebang to GuyaHan reached 7,000 LI. Therefore, based on the records of 『Three Kingdoms』 and 『Huangxi(後漢 書)』, Daebang can not exist in Hwanghae Province. As a result of the new location identification based on various historical records and clans’ networks, it was analyzed that the national name record of 『Three Kingdoms』 Mahan was randomly written without any special order, not from North to South. Comparing the new location identification with Chun Kwan-woo(1979a), only 21 of 55 countries were matched, and the remaining 34 countries were different. In this study, more than half of the 55 countries were found to be clan names, and most of them were located in Shandong Province and Hebei Province in China. For example, Woljikuk(月支國) was identified as the Wui clan(嵎夷族), an indigenous force of the Shandong Peninsula, and also the Mo(牟), which represents the Raii(萊夷), is very frequent. Also, the Soseoksack and Daeseoksack were the giant forces of the Six Eunmin clans(殷民六族) who fought against the Zhu(周) forces. In the meantime, Woljikuk was arbitrarily modified as Mokjikuk, and located in the wrong place. There was a serious problem that confused the Sipje of the Hanseong basin and Baekje of Mahan, which was founded in the Daebang south of Beijing in the early 3rd century. Mahan was Raii(萊夷) Mahan, a country founded across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China, led by the Woljikuk(月支國), which was located in the Youngsan River area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n conclusion, the hypothesis that Daebang and Nakrang were located in Hwanghae and Pyongyang is no longer possible.

목차

1. 들어가며
2. 월지국(月支國)과 백제국(伯濟國)의 위치 비정과 근거
3. 주요 씨족의 명칭이 등장하는 소국 위치 비정과 근거
4. 비리(卑離) 계열 소국의 위치 비정과 근거
5. 사서의 기록이나 음운상으로 비정한 소국의 위치와 근거
6.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동(Park, Tong) . (2020).족보 역사문헌 유적의 융합으로 보는 마한제국(馬韓諸國)의 위치 재비정. 역사와 융합, (), 149-221

MLA

박동(Park, Tong) . "족보 역사문헌 유적의 융합으로 보는 마한제국(馬韓諸國)의 위치 재비정." 역사와 융합, (2020): 149-2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