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896년 남한산성 연합의진의 항일투쟁과 일제의 탄압

이용수 33

영문명
Anti-Japanese Struggle by the Allied Righteous Army in Namhansanseong Fortress in 1896 and Japanese Suppression on that Army
발행기관
바른역사학술원
저자명
김명섭(Kim, Myung-Seob)
간행물 정보
『역사와 융합』제7호, 67~8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895년 민비 시해사건과 단발령은 경기 지역의 항일의병 투쟁을 불러일으켰다. 경기 항일의병들의 투쟁거점은 유사시 임시수도와 군사지휘소 역할을 맡기위해 축성된 광주의 남한산성이었다. 1896년 1월 1월부터 봉기한 김하락 의병장과 경기 의병투쟁은 이천과 여주를 비롯해 광주·용인·양평 등 경기지역민 중심의 최초의 항일의진으로서 서울에서 가장 근접해 곳에서 일어나 서울을 일제로부터 탈환하고자 했다. 남한산성 연합의진은 서울진공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계획은 의병들이 다수의병력과 무기, 수차례에 걸친 전투 경험을 갖고 있었기에 가능했다. 또한 춘천과 광주 등 다른 지역 의병들까지 같이 참여하려는 모습들도 보인다. 그러나 서울진공계획은 1896년 3월 22일 남한산성이 함락되면서 중단되고 말았다. 당시 식량보급로 차단으로 동요가 일었지만, 지도부가 분열하고 관군에회유된 자에 의해 서문을 열어주었기 때문이다. 김하락 의병장은 나머지 의병을인솔하여 영남지방으로 남하하여 끝까지 일제에 항전하였다. 남한산성이 경기 의병부대들의 집결처로 활용되었던 점을 크게 두려워한 일제는 산성 안에 광주헌병분견소를 설치하여 경계를 늦추지 않았다. 아직 각 사찰을 비롯해 곳곳에 많은 무기고와 탄약, 식량이 비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항일의병들도 전략요충지로서의 남한산성을 탈환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였다. 남한산성 인근지역 중기의병은 1904년 5월 말에서 6월초에 나타난다. 광주 출신 의병장인 남상목 등이 1907년 7월 용인ㆍ안성 등지에서 일본군과 교전하였다. 또용인의 이익삼 등 의병부대가 광주ㆍ수원ㆍ양지군 등에서 1909년 6월까지 항일유격전을 펼쳤다.

영문 초록

Assassination of the empress Myeongseong and the order to cut a Korean man’s traditional topknot in 1895 ignited the anti-Japanese struggle in Gyeonggi region. The base of anti-Japanese righteous army in Gyeonggi was Namhansanseong Fortress in Gwangju built to play the roles of temporal capital and military command post in case of emergency. The commander Kim Ha-rak deploying the anti-Japanese movements since Jan. 1, 1896 and Gyeonggi righteous army, the first allied righteous army around Gyeonggi residents including Gwangju, Yongin and Yangpyeong as well as Icheon and Yeoju, attempted to restore Seoul from Japanese rules as they started uprising in the nearest region to Seoul. Namhansanseong Fortress Allied Righteous Army planned the advance toward Seoul. The plan was feasible because the righteous army had lots of soldiers, battle experience and armory. Moreover, the righteous armies in other regions including Chuncheon and Gwangju wanted to join. However, the plan to advance toward Seoul was blocked as Namhansanseong fortress was captured on Mar. 22, 1896. Even in spite of agitation due to the blockage of food supply route, the leadership was broken up and someone who was appeased by the government army opened the west gate of the fortress. The commander Kim Ha-rak went to the southwestern region with remaining soldiers and desperately fought against Japan. With the substantial fear due to the fact that Namhansanseong fortress was used as the base for Gyeonggi righteous army, Japan remained vigilant after establishing Gwangju military police outstation inside the fortress. Lots of armories, bullets and food were still hidden lots of places including temples. Anti-Japanese soldiers kept endeavoring to restore Namhansanseong fortress as the strategic point. Middle time agarighteous army around Namhansanseong fortress appeared between end of May to earl June in 1904. The commanders including the commander Nam Sang-mok from Gwangju continuously fought against Japanese army in Yongin, Anseong and other areas in Jul, 1907. Moreover, the righteous army including Yi Ik-sam in Yonggin deployed anti- Japanese guerrilla wars in Gwangju, Suwon and Yangji-gun until Jun. 1909.

목차

1. 머리말
2. 1896년 남한산성 연합의진의 결성과 항전
3. 남한산성 함락과 일제의 탄압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명섭(Kim, Myung-Seob) . (2020).1896년 남한산성 연합의진의 항일투쟁과 일제의 탄압. 역사와 융합, (), 67-87

MLA

김명섭(Kim, Myung-Seob) . "1896년 남한산성 연합의진의 항일투쟁과 일제의 탄압." 역사와 융합, (2020): 67-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