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생명정치와 인간의 안전보장

이용수 120

영문명
Biopolitics and Human Security in the Post-Corona Era
발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저자명
김영근(Kim, Young-Geun)
간행물 정보
『국가와 정치』제28집 1호, 139~17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8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최근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생명과학 · 생명기술학 관점에서 바이오정치학의 기원 및 필요성(사회적 수요)을 규명하는 데 있다. 특히 지금껏 인류를진화시켜 온 ‘농업혁명’, ‘과학기술혁명’, ‘정보혁명’에 더하여 ‘인지혁명’이나 ‘인간(생명)과학혁명’에 주목하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인류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주목받아 온 ‘생명과학의 탄생’에 관해 고찰함으로써 생명정치 논의의 유용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제II장에서는 인간이 진화하는 과정에서 대두된 우생학이나 유전자 정치의 역사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바이오 정치학’에 관한 기원과 전개를 고찰한다. 생명을중시하는 과정에서 정치학의 효용성을 살펴보고, 나아가 생물사회학, 생물정치학, 생명정치학 등 다양한 개념들과 연계하여 새로운 학문분야의 개척하고 걸맞은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제III장은 ‘트랜스휴머니즘’과 ‘생명과학기술’의 현재에 관한 분석이다. 현대인의생활 속에 상존해 있는 ‘바이오정치’ 프로세스 및 메커니즘을 규명한다. 제IV장에서는 포스트 바이오테크 시대를 살아가는 인류에 있어서 ‘인권’과 관련한 ‘인간의 안전보장(인간안보)’에 관해 논한다. 특히 ‘안전국가론’의 차원(관점)에서 바이오 리스크를 관리함으로써 개개인의 안전 · 안심생활을 영위하고 능력이 발휘될 수있도록 보장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규명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인간 중심의 ‘휴마트(Humanity+Smart Power) 생명정치학의 역할 및한계를 점검하고 향후 인간을 위한 생명과학의 정치공학적 관점에서 개선 과제를제시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necessity of the origin and social demands of bio-politics under the scope of life science technology. In addition to ‘agricultural revolution,’ ‘science technology revolution’, and ‘information revolution,’ the research also focuses on ‘cognitive revolution’, or ‘human(life) science revolution’. Seeking on the birth of life science from this research would provide meaningful results as it discusses the importance of bio-politics. Chapter II discusses origins and the history of bio-politic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y of eugenics and genetic politics those emerged throughout the human evolution. The research assesses the efficiency of political science in a life(Human)-centric process and seeks to become a pioneer of new academic field and to provide a new theoretic frame such as bio-sociology, biopolitical science, and life-politics. Chapter III provides analysis on a current status of ‘transhumanism,’ and ‘life science technology’. It clarifies a process and mechanism of bio-politics in daily lives of the modern society. Chapter IV discusses ‘human security’, under the scope of the human rights, of the humanity living in the post bio-tech era. The research focuses to clarify a process that secures safety and capability of individuals through a risk management at the level of national security. In conclusion, the research reviews the role and limitations of ‘Humart(Human+Smart Power) bio-politics’ and provides insights of Biopolitics with the eyes of political technology for an improvement.

목차

I. 서론: 생명정치과학의 탄생
II. 왜 ‘바이오 정치학’인가?
III. 트랜스휴머니즘과 생명과학기술의 현재
IV. 포스트 바이오테크 시대 인간의 안전보장
V. 결론: 휴마트 생명정치를 위한 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근(Kim, Young-Geun). (2022).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생명정치와 인간의 안전보장. 국가와 정치, 28 (1), 139-172

MLA

김영근(Kim, Young-Geun).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생명정치와 인간의 안전보장." 국가와 정치, 28.1(2022): 139-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