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출산 양육기 여성의 일자리 질 변화 유형과 영향 요인

이용수 246

영문명
Types and Affecting Factors of Job Quality Changes in Women during pregnancy and the parenting period : precarious work and career breaks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최인선 이소영
간행물 정보
『여성연구』통권 제113호, 107~14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29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불안정 노동과 경력단절을 중심으로 출산 양육기 동안 여성의 일자리 질이 어떻게변화하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노동패널5차년도~23차년도의 자료를 활용하여 출산1년 전부터 출산 후 9년까지 총10년 동안 일자리 질의 변화를 관찰하고 추정하였다. 일자리 질의변화는 ①노동시장이탈형, ②지연된 경력단절형, ③ 불안정노동진입형 ④불안정노동유지형 ⑤ 안정노동유지형 등 총 5가지로 유형화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여성이 노동시장이행과정에서 경력단절없이 일자리를 계속 유지할 경우 일자리 질은 유지되었다. 둘째, 경력단절 후 재진입한 일자리는불안정 노동을 강화시켰다. 셋째, 여성의 일자리 질이 한번 떨어지면 불안정하지 않은 일자리(안정노동) 진입이 불가능하였다. 넷째, 자녀수가 많을수록 지연된 경력단절형과 불안정노동진입형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았다. 다섯째, 가구소득은 여성의 일자리 질 변화 경로를 설명하는 주요요인으로나타났다. 즉, 높은 가구소득은 안정노동유지형을, 낮은 가구소득은 불안정노동진입형을 설명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한 주요 시사점은 첫째, 출산과 관계없이 경제활동을 유지할 수 있는 정책이 가장우선시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재진입시 일자리 질이 더 이상 불안정노동을 강화시키지 않기위해서는 여성의 취업욕구를 반영한 실효성 있는 취업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출산과여성의 경제활동참여를 정적인 관계로 바꿔야할 당위성과 시급성이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presentative) type of women’s job quality changes trajectory during pregnancy and the parenting period and to find out factors affecting on the trajectory type. This study used data from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5th-23rd). Using the group-based trajectory method, it examined the trajectory of changes in women’s job quality for 10 years(from one year before and nine years after childbirth). As a result, we identified five trajectory types: ① leavers, ② delayed career breaks, ③ precarious work entry, ④ precarious work maintenance ⑤ unprecarious work maintenance.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f women continued to work without career breaks, the quality of jobs is maintained. Second, re-entering after career breaks strengthened precarious work. Third, once women’s job quality declines, it is difficult to obtain unprecarious work. Fourth, the higher the number of children,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choosing ‘delayed career breaks’ and ‘precarious work entry’. Fifth, high household income accounts for ‘unprecarious work maintenance’, and low household income explains ‘precarious work ent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es that policies that can maintain work regardless of childbirth should be prioritized. Also, in order for career breaks to no longer intensify precarious work, a vocational program that reflects women’s job needs must be developed. This is a critical time to ch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birth and women’s employment into a positive on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인선,이소영. (2022).출산 양육기 여성의 일자리 질 변화 유형과 영향 요인. 여성연구, (), 107-141

MLA

최인선,이소영. "출산 양육기 여성의 일자리 질 변화 유형과 영향 요인." 여성연구, (2022): 107-1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