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음악 단서와 시각 단서 조건에 따른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 인식 비교*

이용수 211

영문명
Emotion Recogni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Comparison of Musical and Visual Cues
발행기관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인간행동과 음악연구』제19권 제1호, 1~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Autism Spectrum Disorder, 이하 ASD)과 일반아동(Typically developing, 이하 TD)의 음악 단서와 시각 단서 조건에 따른 4가지 기본정서(행복, 슬픔, 분노, 두려움) 인식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실험연구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ASD 진단 기준을 충족한 만 7세~13세 아동 9명과 일반 아동 14명으로, 모든 참가자를대상으로 4가지 기본정서 인식 능력을 평가하는 음악 과제와 시각 과제를 실시하였다. ASD 아동과 TD 아동의 단서 조건, 즉 음악 단서와 시각 단서에 따른 정서를 인식하는 정확도와정서 유형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한 결과, ASD 아동이 TD 아동에 비해 정서 인식정확도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또한, 시각 단서보다 음악 단서에서 정서 인식 정확도가 높은 경향으로 나왔다. 마지막으로 정서 유형에 따른 차이는 ASD 아동과 TD 아동 두 그룹 모두 음악 단서에서 행복이 정서 인식 정확도가 높게 나타났고, 시각 단서에서 ASD 아동은 행복이 TD 아동은 분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ASD 아동은 음악 매체가 제공되었을 때 시각 매체보다 정서를 보다 잘 인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ASD 아동 대상 정서와 관련된 첫 시도라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한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시행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how accurately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n = 9) recognized four basic emotions (i.e., happiness, sadness, anger, and fear) following musical or visual cues. Their performance was compared to that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n = 14). All of the participants were between the ages of 7 and 13 years. Four musical cues and four visual cues for each emotion were presented to evaluate the participants’ ability to recognize the four basic emo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between the musical and visual cues. In particular, the ASD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less accurate recognition of the four emotions compared to the TD group. However, the emotion recognition of both groups was more accurate following the musical cues compared to the visual cues. Finally, for both groups, their greatest recognition accuracy was for happiness following the musical cues. In terms of the visual cues, the ASD group exhibited the greatest recognition accuracy for anger. This initial study support that musical cues can facilitate emotion recognition in children with AS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involved in emotion recognition and the role of sensory cues play in emotion recognition for children with AS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음악 단서와 시각 단서 조건에 따른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 인식 비교*.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19 (1), 1-20

MLA

. "음악 단서와 시각 단서 조건에 따른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 인식 비교*."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19.1(2022): 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