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 기반 교사학습공동체 ‘나무학교’의 확장학습 과정 분석

이용수 217

영문명
An Analysis on the Process of Expansive Learning in Namu School, Local-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y
발행기관
한국평생교육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28권 제2호, 65~9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 기반 교사학습공동체인 ‘배움의 숲 나무학교’가 활동체계를 확장해나가는 확장학습 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3세대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으로 불리는 엥게스트롬(Engeström, 1987)의 확장학습이론의 틀로 ‘나무학교’의 활동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활동체계가 어떻게 확장하고 있는지, 확장학습의 의미는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나무학교는 교사의 수업개선을 지향하는 성장교실이란 활동체계를 만들어 활동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나무학교는 성장교실 활동체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모순에 직면하여 이를 해결하면서, 공동체의 확대 및 정체성 지속을 위해 공동체 조직을 전환하였고, 지역교육의 변화를 지향하는 수업축제 활동, 다양한 지향점을 담보하기 위한 소모임 활동 등으로 확장하였다. 이러한 나무학교의 확장학습 과정은 첫째, 활동체계를 확장하고자 하는 수평적인 의사소통과 주체들의 다양한 목소리, 공동체성을 바탕으로 한 확장적 순환이 있었다. 둘째, 학교와 관련된 객체를 지향하는 교사 성장 플랫폼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행위주체로 성장하여 공동체 안과 밖에서 확장학습을 통해 교사 성장의 선순환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시대적·환경적 맥락과 상호작용하며 이루어지는 학교혁신에 대한 상향식 운동으로서 의미를 가졌다. 결국 본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의 실천을 바탕으로 일어나고 있는 확장학습 과정과 학교혁신의 한 맥락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모순을 딛고 공동체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도를 이어나가는 학습의 가능성을 드러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ansive learning process of Namu School, which is local-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 activity system of Namu School was analyzed with the framework of Engeström’s(1987) expansive learning theory, which is called the third-generation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CHAT). We try to explore how the activity system is expanding and what the meaning of expansive learning 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Namu School created an activity system called Growth Classroom that enables teachers to improve instruction. However, while facing various contradictions that exist in the Growth Classroom activity system, Namu School has transformed its community organization to expand the community and maintain its identity, and has expanded to class festival and small group activities oriented toward changes in local education and school. In the extended learning process of Namu School, first, there were expansive learning cycles based on multi-voicedness, democratic reflection and discussion for better practice. Second, the expansive learning of Namu School was forming a teacher platform that aims to change local schools. In this process, teachers create virtuous circles of teacher growth. Lastly, the expansive learning process of Namu School is meaningful as a bottom-up movement for school innovation that interacts with contexts surrounding the school. This study is able to illuminate the context of the expansive learning process and school innovation that is based on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veal the possibility of learning by overcoming contradictions and continuing new attempts based on a sense of commun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나무학교의 확장학습 과정
Ⅴ. 나무학교 확장학습의 의미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지역 기반 교사학습공동체 ‘나무학교’의 확장학습 과정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28 (2), 65-97

MLA

. "지역 기반 교사학습공동체 ‘나무학교’의 확장학습 과정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28.2(2022): 65-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