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국시대 문헌에서 마음[心]의 의미와 마음공부의 방법

이용수 63

영문명
Meaning of Mind/Heart (心) and Mind Practice Method in the Texts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戰國時代):Focusing on Zhuangzi(『莊子』), Guanzi(『管子』), and Xunzi(『荀子』)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36권 제2호, 155~18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자(莊子)』, 『관자(管子)』, 『순자(荀子)』를 중심으로 전국시대 전래문헌에 보이는 마음의 의미를 검토하고, ‘허(虛)’와 ‘정(靜)’이라는 마음공부의 방법을 비교하였다. 전국시대 문헌들은 인간 내면에 존재하는 마음이 감각, 사유, 행위 등을 추동한다고 보았다. 다만 『장자』는 마음의 통제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고, 『관자』는 마음의 통치는 인정하나 그 통치가 소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으며, 『순자』는 마음의 통치를 가장 적극적으로 인정하고 마음이 지닌 인지능력을 중시하였다. 전국시대 문헌들은 도(道)를 마음공부의 내용으로 상정하고 있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마음공부를 통해 도(道)를 체득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여긴다. 『장자』와 『관자』는 마음 비움[虛]을 감각이나 사욕의 제거, 자기중심적 사고의 타파로 서술하지만, 『순자』는 마음 비움을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기 위한 수용적인 인식 태도로 설명한다. 『장자』와 『관자』는 마음의 고요함[靜]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감각, 감정, 욕망, 인위적 가치로부터의 탈피를 제시하지만, 『순자』는 마음의 고요함을 추후의 인지 활동을 위해 마음의 의식활동이 휴식을 취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mind/heart (心)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戰國時代) texts and to compare the meaning of emptiness (虛) and stillness (靜) as a mind practice method by focusing on Zhuangzi (『莊子』), Guanzi (『管子』), and Xunzi (『荀子』). The texts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explain that the mind/heart that exists within human beings drives the senses, thoughts, and actions. However, Zhuangzi did not explain the abilities of the mind/heart in detail, Guanzi acknowledged the rule of the mind/heart but described that it occurred passively, while Xunzi most actively acknowledged the rule of the mind/heart and emphasized its cognitive ability. The texts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assume the Dao (道) as the content of mind practice, and al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in degree, it was considered to be possible to acquire the Dao (道) through mind practice. While Zhuangzi and Guanzi describe the emptiness (虛) of mind/heart as the removal of sensations or lust and the breaking of egocentric thinking, Xunzi explains emptiness (虛) as a receptive cognitive attitude to receive new information. While Zhuangzi and Guanzi suggest a break from the senses, emotions, desires, and artificial values as a way to achieve stillness (靜) of the mind/heart, Xunzi explains the stillness(靜) of the mind/heart as the relaxation of conscious activity for subsequent cognitive activities.

목차

Ⅰ. 서 론
Ⅱ. 마음의 의미와 기능
Ⅲ. 마음공부의 방법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전국시대 문헌에서 마음[心]의 의미와 마음공부의 방법. 교육사상연구, 36 (2), 155-182

MLA

. "전국시대 문헌에서 마음[心]의 의미와 마음공부의 방법." 교육사상연구, 36.2(2022): 155-1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