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와 회복경험의 관계에서 일 관련 반추의 매개효과와 안녕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365

영문명
The Mediation Effect of Work-Related Rumination Between Perceived Job Stress and Recovery Experience,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Well-Being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저자명
김민영(Kim, Min Young) 송지훈(Song, Ji Hoon)
간행물 정보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17권 제1호, 143~17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일 관련 반추가 직장인의 회복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각 변인들의 영향관계에서 안녕감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는 데에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97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가설검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 3.5의 Model 4, 1, 7번을 활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그리고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일 관련 반추는 직무 스트레스와 회복경험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있었다. 특히 하위요인별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일 관련 반추의 하위요인은 모두 직무 스트레스와는 정(+)적 관계를 보이는 반면 회복경험과는 부(-)적인 영향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직무 스트레스와 일 관련 반추의 관계에서 안녕감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안녕감이 높은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직무 스트레스와 일 관련 반추의 정(+)적 관계를 완화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안녕감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안녕감은 일 관련 반추를 매개로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회복경험 저해의 과정을 완화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회복경험 저해 요인인 일 관련 반추의 역할을 확인하고 직장인의 퇴근 후 회복경험 저해의 과정을 확인하였다. 또한 안녕감이 개인의 심리적 자원으로써 직무 스트레스의 지속과 회복경험 저해의 과정을 완화한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조직 차원에서 직무 스트레스와 일 관련 반추는 완화하고 회복경험과 안녕감을 강화하는 인적자원관리 및 개발 방안 마련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employees; recovery experience decrease due to work-related rumination in a situation of excessive job stress. In particular, this study sought to confirm the role of well-be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research variabl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97 general business people. To verify the hypothesis, mediating, moderating,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were analyzed using Models 4, 1, and 7 of SPSS Process Macro 3.5. First, work-related rumination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recovery experience. Work-related rumination and each sub-factor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tress, whereas they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recovery experience.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well-being was verified.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up with a high level of well-being allevi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work-related rumination. Finally, moderated mediation effect on well-being was verified. Well-being was revealed to be an alleviating factor in the inhibition process of recovery experience. The study identified theoretically both inhibition factors and inhibition processes of the recovery experience. Furthermore, well-being was confirmed as an individual s psychological resource. The study’s findings contribute to the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 plans by identifying ways to reduce job stress, reduce work-related ruminations, and improve well-be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영(Kim, Min Young),송지훈(Song, Ji Hoon). (2022).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와 회복경험의 관계에서 일 관련 반추의 매개효과와 안녕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17 (1), 143-171

MLA

김민영(Kim, Min Young),송지훈(Song, Ji Hoon).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와 회복경험의 관계에서 일 관련 반추의 매개효과와 안녕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17.1(2022): 143-1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