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極東亞細亞 農獵區 設定

이용수 70

영문명
Proposal on zoning of Far East Agriculture Fishing Hunting Region
발행기관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저자명
박순발(Park, SoonBarl)
간행물 정보
『백제연구』백제연구 제61집, 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2.25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고학적으로 한반도 역사문화의 기원, 전개, 그리고 그 정체성 등을 모색하는 일은 최근 한반도와 인접한 중국 동북지역 고고자료의 증가와 더불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한반도 북부에 대한 고고자료가 상대적으로 결여된 상태에서 자료의 해상력이 높은 남한지역과 중국 동북지역 고고자료를 직접 비교하는 일이 빈번해지면서 그를 위한 작업 가설로서 한반도와 상대적으로 밀접한 일련의 시간적·공간적 범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해 가칭``극동아세아 농렵구(極東亞細亞 農獵區)``설정을 위한 고고학적 근거를 모색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잠정적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한반도의 선사문화는 랴오허-헤이룽쟝-우수리강으로 경계 지워진 장백(長白)-천산산지(千山山地) 지역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신석기시대 이른 시기에는 어렵·수렵 위주의 비농경 생계 경제를 기반으로 하는 문화였으나 랴오둥반도 발해만 연안에서 성립된 偏堡(피엔푸)문화와 더불어 농경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가 시작되었다. 자연지리적으로 산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반도 및 그 주변 지역을``극동아세아 농렵구``로 설정할 수 있다. 둘째, 극동아시아 농렵구의 문화적 정체성을 잘 보여주는 고고자료로는 통형관(筒形罐) 위주의 취사기의 지속, 적석묘를 필두로 하는 석묘(石墓) 전통의 지속, 비파형동검·세형동검 및 다뉴경을 핵심 내용으로 하는 청동기문화 전통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극동아시아 농렵구의 각 시기 고고문화는 부단히 한반도 지역으로 파급되어 한반도로 대표되는 현재의 한국고고학의 중심 연구 대상이 되었으므로 한반도 고고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공간적 연구 대상의 범위는 극동아시아 농렵구 전체로 확대되어야 마땅하다. 역사시대에 들어 와 형성 소멸된 본 지구의 여러 정치체들은 지금의 한반도 역사·문화 내용 형성의 원류임은 물론이다.

영문 초록

With gross quantity of recent Korea archaeology needs comparative approach with neighbor region, especially north east of China where directly connected by land with Korean peninsular. In this point of view, the zoning of comparatively homogeneous region with Korean peninsular is important. This article proposes the zoning of ``Far East Agriculture Fishing Hunting Region(FEAFHR)``, which means globally viewed the eastern end positioned subsistence economy bloc on agriculture, fishing and hunting mixed basis. Topographically viewing, FEAFHR is markedly distinctive mountainous from its neighbors, which ranging from east side of Liaohe(遼河), southern part of Heilongjiang(黑龍江) cutting through Small Xinganling mountains, western part of Usulijiang valley, and whole Korean peninsular. Archaeologically is also characteristics with non agriculture subsistence basis for a long time of neolithic age, prominently contrasts with western adjacent Liaoxi(遼西)``s crop agriculture. FEAFHR``s long tradition of non agriculture subsistence pattern finished with the emergence of Pianpu(偏堡) culture, which is the first agriculture basis neolithic culuture and had been formed by Liaxi Hunshan(紅山) culture and Shandong(山東) Dawenkou(大汶口) culture``s impact. The aftermath spreads out through whole FEAFHR, eventually gets to agriculture neolithic phase. After that time FEAFHR``s archaeological identity becomes more clear, for example so called deep bowl type pottery boiler tradition had lasted for the long time to early historical period, which well contrasted with western tripod type boiler tradition. Besides the tradition of stone tomb lasted since then with characteristic bronze culture comprised with dagger and multi loop bronze mirror etc. Paleo Joseon(朝鮮), which is wellknown as present Korean``s ancestor, also the first state of FEAFHR, henceforth a number of polity rises and falls that had been recorded as East people(東夷) in Chinese historical records.

목차

Ⅰ. 머리말
Ⅱ. 중국 동북지역 考古分區 문제
Ⅲ. 극동아시아 농렵구 설정의 고고문화적 단서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순발(Park, SoonBarl). (2015).極東亞細亞 農獵區 設定. 백제연구, 61 (1), 1-19

MLA

박순발(Park, SoonBarl). "極東亞細亞 農獵區 設定." 백제연구, 61.1(2015): 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