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스마트플랫폼 기반의 자폐스펙트럼 장애 조기진단도구 타당화 연구

이용수 222

영문명
A study on feasibility of ASD early diagnosis tool based on smart platform
발행기관
한국자폐학회
저자명
최진혁(Choi, Jinhyeok) 박재국(Park, Jae-Kook) 김지훈(Kim, Jihoon) 김민영(Kim, Minyoung)
간행물 정보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제22권 제1호, 137~15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스마트플랫폼 기반의 ASD 조기진단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부산, 울산, 대구 등의 어린이집, 특수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ASD 아동 564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ASD 조기진단도구의 신뢰도는 Cornbach’s a값을 산출하여 검증하였고, 타당도는 구인타당도 및 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ASD 조기진단도구의 각 영역별 신뢰도 계수의 범위는 .744 ~ .973로 나타나 안정적인 신뢰도 계수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SD 조기진단도구의 각 영역별 하위 상관계수는 .335~.918으로 각 영역간의 상관이 정(+)적 상관을 나타내며, 모든 상관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적절한 타당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 차이 분석 결과에서는 지원의 요구나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을 분류하고, 지원요구가 다른 다섯 집단이 하위 척도의 표준 점수, 하위 척도의 표준점수 소계와 복합 표준점수(평가점수 총계)에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플랫폼 기반의 ASD 진단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됨에 따라, 효율적이고 편리한 ASD 조기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smart platform-based ASD early diagnosis tool. Accordingly, 564 children with ASD attending daycare centers,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in Seoul, Busan, Ulsan, and Daegu were tes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ASD early diagnosis tool were verified by calculating Cronbach s α value and analyzing construct validity and differences among groups, respectively. First, the range of the reliability coefficient for each area of the ASD early diagnosis tool was found to be .744-.973, indicating that a stable reliability coefficient was secured. Second, the sub-correlation coefficient for each area of the ASD early diagnosis tool was .335-.918, implying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each area, and all correlations were significant, indicating appropriate validity. Third, in the group difference analysis result, the groups with low and high support needs were classified, and the five groups with different support needs differed in the subscale standard, subscale subtotal standard, and composite standard (total evaluation) scores.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developing an efficient and convenient ASD early diagnosis tool because it establish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mart platform-based ASD diagnosis tool.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진혁(Choi, Jinhyeok),박재국(Park, Jae-Kook),김지훈(Kim, Jihoon),김민영(Kim, Minyoung). (2022).스마트플랫폼 기반의 자폐스펙트럼 장애 조기진단도구 타당화 연구.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 22 (1), 137-156

MLA

최진혁(Choi, Jinhyeok),박재국(Park, Jae-Kook),김지훈(Kim, Jihoon),김민영(Kim, Minyoung). "스마트플랫폼 기반의 자폐스펙트럼 장애 조기진단도구 타당화 연구."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 22.1(2022): 137-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