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자원 부족량 기반 가뭄 대응역량 평가

이용수 220

영문명
Assessment of Regional Drought Preparedness and Response Capacity on the Basis of Water Resources Shortage
발행기관
한국방재학회
저자명
윤동현(Yoon, Dong-Hyun) 남원호(Nam, Won-Ho) 전민기(Jeon, Min-Gi) 안현욱(An, Hyun-Uk) 유도근(Yoo, Do-Guen) 박무종(Park, Moojong)
간행물 정보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2권2호, 39~46쪽, 전체 8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 및 기상이변으로 지구온난화 심화,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 전 지구적 기온 상승 등 기상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기후변화는 자연재해 발생빈도를 증가시키며, 최근 전세계적으로 장기간 지속되는 가뭄 발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의 경우 2006년부터 2016년까지 극심한 가뭄이 지속되어 메가가뭄(Mega drought)을 경험하였으며, 호주는 2001년부터 2009년까지 밀레니엄가뭄(Millenium drought), 아프리카 대륙 중북부는 2005년부터 2018년까지 지속되는 장기 가뭄을 겪고 있다. 메가 가뭄의 경우 단기간 발생했던 기존 가뭄과 달리 장기간 수자원 고갈 상황이 지속되는 현상으로, 사회, 경제적으로 대비하기 어려운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킨다. 우리나라는 장기 가뭄에 대한 대응책이 부재한 상황으로, 장기 가뭄 발생시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 지역에 따른 가뭄 대응역량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수자원 부족량 기반의 가뭄 대응역량 평가를 위하여 용수별(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수요량 및 공급량 자료와 지자체별 가뭄대비 시스템, 가뭄훈련 등을 포함하는 복원력 분석을 활용하였다. 가뭄 발생 및 심도 파악을 위한 가뭄지수 값을 위해지표로, 수요량 및 공급량 자료를 기반으로 한 수자원 부족량을 취약지표로, 복원력(회복력) 결과를 경감지표로 활용하여 지자체의 가뭄 대응 역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별 가뭄 대응역량 평가를 통해 향후 중장기적인 가뭄 분석 및 대책 수립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Due to global climate change and weather fluctuations, weather phenomena such as global warming and increasing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re intensifying. Climate change increases the frequency of natural disasters and has been affecting the occurrence of drought. In recent years, severe drought has been occurring all over the world. California in the United States experienced a mega drought from 2006 to 2016, Australia experienced a millennium drought from 2001 to 2009, and the Central and Northern African continent suffered a mega drought from 2005 to 2018. With regard to extreme drought events, depletion of water resources has continued for a long time, causing enormous damage that is difficult to restore socially and economically. Drought response strategy for South Korea has focused on drought recovery and emergency measures for drought damage. To respond to severe drought event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regional drought response capacity and drought preparedness. In this study, long-term water resource comprehensive plan, water management yearbook, and water statistics were used to evaluate drought response capabilities according to region, including resilience analysis such as local economy, drought preparation system, and drought training. The water resource shortage of each local government was calculated based on water demand and supply data, and drought response capability of the local government was analyzed by combining it with resilience analysis for drough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long-term drought preparedness and establishment of countermeasures in the future through the evaluation of drought response capacity according to region.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연구 결과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동현(Yoon, Dong-Hyun),남원호(Nam, Won-Ho),전민기(Jeon, Min-Gi),안현욱(An, Hyun-Uk),유도근(Yoo, Do-Guen),박무종(Park, Moojong). (2022).수자원 부족량 기반 가뭄 대응역량 평가.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2 (2), 39-46

MLA

윤동현(Yoon, Dong-Hyun),남원호(Nam, Won-Ho),전민기(Jeon, Min-Gi),안현욱(An, Hyun-Uk),유도근(Yoo, Do-Guen),박무종(Park, Moojong). "수자원 부족량 기반 가뭄 대응역량 평가."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2.2(2022): 39-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