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73
- 영문명
-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Program on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First-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동희(Kim, Dong Hui) 류상희(Ryu, Sanghee)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5권 제1호, 75~8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자아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영역을 중심으로 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하여 각각 실험집단(25명)과 비교집단(25명)으로 하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의 차이는 t-검증에 의해 분석하였다.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총 10차시로, 자아이해 및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 5차시,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역량 개발 5차시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영역을 중심으로 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후 검사에서 실험 집단의 평균이 높아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위요인에서는 학생으로서의 자신에 대한 평가인 학문적 자아존중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영역을 중심으로 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교실에서의 거리두기, 협동 학습과 놀이 시간의 부재 등 학교생활 환경의 변화 때문으로 여겨진다. 반면, 하위요인에서는 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적응이 향상되었다. 이 연구에서의 실험 처지는 전면 대면 수업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상황으로 교사 및 친구와의 관계나 학교 규칙 적응 등 학교생활의 적응에는 한계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전과 같은 대면 수업 상황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그 효과를 검정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a career education program on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first-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rogram was focused on self-understanding and social competence developm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wo classes were selected, and one class was set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as a comparison group. The difference in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apt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was analyzed by t-tes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self-understanding and social competency development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esteem of first-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sub-factors, it was found that academic self-esteem was improved. Second, career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self-understanding and social competency development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school life adaptation of first-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is believed to be due to changes in the school life environment, such as distancing in classrooms and the absence of cooperative learning and play time due to COVID-19. In sub-factors, adaptation to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was improved.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피아노 교육에서의 인지적 부하 관리 전략
- 중등음악교사의 국악 수업 경험: 서양음악을 전공한 음악교사들의 국악 수업 실천
- 음악교과 플라스틱 재질의 악기 사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