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금강산 일대의 비구니 암자와 비구니의 활동

이용수 78

영문명
Bhikkhuni Temples and Activities of Bhikkhunis at Geumgang Mountain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ed on the list of Bhikkhuni in Yujeomsa Bonmalsaji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탁효정(TAK, Hyojeong)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70호, 25~5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유점사본말사지』에 기재된 비구니 명단을 토대로 조선후기 금강산 일대의 비구니의 거주 암자와 비구니 활동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유점사본말사지』에는 총 156건의 조선시대 비구니 명단이 기재돼 있는데, 중복되는 법명을 정리하면 총 136명이다. 조선전기에 활동한 비구니는 확인되지 않으며, 17세기에 활동한 비구니가 1명, 18세기는 6명, 19세기는 52명, 20세기는 77명으로 조사되었다. 『유점사본말사지』에 나타난 비구니 암자와 비구니 활동의 특징은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유점사 본말사와 부속암자 가운데 비구니 거주 암자는 총 9개로, 대부분 19~20세기 초 비구니의 주도로 건립되었다. 둘째, 비구니는 비구니 암자뿐만 아니라 소속사찰과 주요 수행처의 화주 또는 시주자로 역할을 하였다. 셋째, 비구니 암자의 건물 구성은 요사를 중심으로 배치되었고, 요사에서는 주거와 수행이 함께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넷째, 비구니 암자의 주지는 소속사찰의 주지가 겸임했다. 다섯째, 비구와 비구니는 한 사찰에 소속돼 있을 경우에도 별개의 문파로 구별되었다. 본고에서는 이 같은 내용을 통해 금강산에 여성출가자들의 수행문화가 이어져왔고, 비구니들이 금강산 사찰 운영의 한 축을 담당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bhikkhuni temples at Geumgang Mountain and the activities of the main bhikkhunis at Geumgang Mountain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based on a database containing the list of bhikkhunis recorded in Yujeomsabonmalsaji. A total of 158 bhikkhunis (excluding duplicate names) are listed in Yujeomsabonmalsaji, of which 136 were active during the Joseon Dynasty. One person was active in the 17th century, six people in the 18th century, 52 people in the 19th century, and 77 people in the 20th centu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bhikkhuni hermitage and bhikkhuni activities, as shown in “Yujeomsa Bonmalsaji,” can be summarized in five ways. First, among the Bonmalsa Temple and annexed hermitages of Yujeomsa Temple, there were a total of nine hermitages where bhikkhunis lived, and most of these hermitages were built under the leadership of bhikkhunis in the early 19th to early 20th centuries. Second, bhikkhunis served as supporters or founders of agency temples and performance sites, as well as the bhikkhuni hermitages. Third, the composition of the building of the bhikkhuni hermitages was arranged around Yosa, and it seems that housing and practice were carried out together in Yosa. Fourth, the chief monk of a bhikkhuni hermitage was also the chief monk of an agency temple. Fifth, even if they belonged to a temple, they were classified as separate literary groups. Through these records,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practice culture of bhikkhunis continued at Geumgang Mountain, and that bhikkhunis were one of the pillars of the operation of the temples at Geumgang Mountain.

목차

Ⅰ. 머리말
Ⅱ. 『유점사본말사지』에 기재된 비구니 분포
Ⅲ. 금강산 일대의 비구니 거주 암자
Ⅳ. 금강산에서 활동한 주요 비구니
Ⅴ. 비구니 암자와 비구니 활동의 특징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탁효정(TAK, Hyojeong). (2022).조선후기 금강산 일대의 비구니 암자와 비구니의 활동. 불교학연구, 70 (1), 25-58

MLA

탁효정(TAK, Hyojeong). "조선후기 금강산 일대의 비구니 암자와 비구니의 활동." 불교학연구, 70.1(2022): 25-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